All Food & Beverage News
Top stories summarized by our editor
10/15/2025
‘KFC’ 파는 오케스트라, 대박 수익 가시화
오케스트라PE가 KFC코리아 매각을 추진 중으로 글로벌 운용사들과 칼라일에 인수된 투썸플레이스가 투자를 검토, 상각전영업이익은 340억원 수준으로 약 10배의 멀티플을 적용하길 원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식품업계가 올해 3분기에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표를 받아들 전망으로 수출 호조 등 일부 기업은 반등에 성공했으나, 내수 침체가 이어지면서 대체로 수익성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 분위기다. As In-N-Out had opened a similar one-day pop-up store back in 2023, 2019 and before, this pop-up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the burger chain is preparing for an official launch in the country. Instead, it is more likely that the impromptu pop-up stores are a means of protecting the registered trademark rights in Korea. In Korea, the trademark rights may be extinguished if it is not exercised for three years or longer.
10/10/2025
F&B 매물, 돈 잘 벌어도 원매자가 없다
올해 식음료 매물의 찬밥 신세가 지속되자, 시장관계자는 "트렌드가 빠르게 바뀌고 프랜차이즈 관련 산업의 제도 변동성, 해외 로열티 등 부담에 FI 관심은 꺼지고 SI와는 가격 눈높이를 좁히지 못하는 분위기”라고 진단했다. 공정위가 최근 커피·치킨·피자·편의점·제과제빵·외식 등 7개 국내 프랜차이즈 업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본사는 외형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점주들의 매출은 감소세를 보이며 구조적 불균형이 심화됐다. Average revenue at Korean franchise outlets fell 7.6% over three years despite combined sales at headquarters climbing 10.8% in the same period, revealing deepening inequality between brands and store owners. The divide was sharpest in the pizza sector, where headquarters’ sales surged 67% while outlet sales tumbled nearly 12%, data from research firm Leaders Index showed.
10/2/2025
라면 BIG 3 상반기 법인세 최고치 경신
상반기 라면 3사의 법인세 비용 계상액은 직전 반기보다 15.4% 증가한 845억 원으로 집계, 삼양식품은 지난해 상반기 1281억원 대비 33.95% 증가한 1716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3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인 가구 1000만 시대가 도래하면서 ‘혼밥족’을 겨냥한 제품들이 잇따라 출시, 업계 관계자는 “1인 외식과 혼밥족은 이미 주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면서 “1인 맞춤형 메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Rumi, Zoey, and Mira savor gimbap, sweet and gooey hotteok, and of course, piping hot ramen. Watching the episode, I was immediately transported to Seoul where I recognized so many of the dishes from my travels. Korea's exports of food and agro products surpassed the $10 billion mark in the shortest amount of time this year, industry data showed.
9/24/2025
모두가 전통적 공식 따를 때 차별화 선택
불닭 시리즈의 누적 판매량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80억개를 돌파,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보수적인 식품 브랜드들이 전통적인 공식을 따를 때, 삼양은 차별화를 선택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백종원 더본코리아는 23일 태국의 한국 식료품 유통 기업 '지두방'과 유통 공급 방안을 논의, 태국을 시작으로 대만·중국·미국을 잇따라 방문 B2B 소스 납품과 소스를 활용한 한식 메뉴 론칭 방안을 협의한다. Non has made its debut in Korea with listings at a number of Michelin-starred restaurants and luxury hotels across the capital. Non will introduce its flagship products to Korean consumers, including Non1 and Non3, both crafted from real ingredients including fruits, teas, spices, and herbs. Trotman, founder of the sero-alcohol, vegan and gluten-free brand, said he is excited to see Non “embraced by such an elite group of restaurants”, praising Korea for its “world-class” culinary scene.
9/18/2025
식품업계, K푸드 열풍에 국내 공장 증설
오리온, 농심, 삼양식품 등 국내 식품기업들은 해외 투자를 지속하는 한편 K푸드 열풍으로 폭증하는 전 세계 수요에 대응하려면 국내 공장을 늘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판단에서 공장 증설에 힘을 쏟고 있다. 국내 식품업계의 K-푸드의 비(非)아시아권 수출 시장은 미국 중심이었지만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후 한미 통상 이슈가 불거기자, ‘한국의 맛’으로 유럽 식탁을 공략하는 기업이 늘며 유럽 시장 공략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As U.S.-Korea trade issues have flared after the launch of the Trump administration, Korea’s food industry is speeding up its push into the European market. The food industry expects the share of Europe in Korea’s food exports to continue to grow. U.S. tariffs on imported foods range from 2% to 25% by item. Meat and some processed foods face relatively higher rates.
9/14/2025
국민이 뽑는 ‘K-SUUL AWARD' 첫 출범
국세청이 올해 처음으로 개최하는 ‘K-술 어워드’는 국민이 직접 뽑은 대표 주류를 해외에 선보이는 장으로, 인구 감소와 건강 트렌드로 내수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중소기업 주류에 수출길을 열어줄 통로가 될 전망이다. 불닭볶음면의 삼양식품에 이어 농심과 오뚜기까지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한류 콘텐츠와 K푸드 열풍을 타고 주가가 치솟자 농심과 오뚜기까지 K라면 3사가 '면비디아(라면업계의 엔비디아)'에 등극할지 이목이 쏠린다. Chipotle Mexican Grill announced plans to expand to Asia for the first time through a joint venture with SPC Group, a Korean-based restaurant operator. The burrito chain aims to open its first Chipotle locations in South Korea and Singapore in 2026. The stock has fallen 35% this year as investors fret over the chain’s two straight quarters of same-store sales declines and the health of the U.S. consumer.
9/9/2025
K-소스 연간 수출액 4억달러 돌파 유력
올 들어 7월까지 소스 수출액은 약 34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 업계 관계자는 “라면 등의 부속 재료에 불과하던 소스를 독립 제품화하며 시장을 개척, K-푸드의 경쟁력을 견인하는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식음료 업계가 말차 열풍에 따른 아이스크림, 스낵, 디저트, 막걸리 등을 출시,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세계 말차 시장은 지난해 약 5조3천억원에서 올해 약 5조9천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A new study found that eating more ultra-processed foods - especially those with certain additives - is tied to higher mortality from any cause over about 11 years of follow-up. Five additive categories showed significant links with higher all-cause mortality :Flavors, Flavor enhancers, Coloring agents, Sweeteners and Varieties of sugar. One exception was gelling agents, which were actually linked to lower risk of mortality.
9/4/2025
보람그룹, 식음료 사업 본격 진출
보람그룹이 계열사 보람F&B를 설립, 첫 작품은 관혼상제 가정간편식 브랜드 ‘보람섬김’으로 “음식으로 섬기다”라는 슬로건에는 관혼상제 전반을 아우르는 생활 브랜드로 발전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맘스터치는 우즈베키스탄 식음료 기업인 'ONE FOOD LLC'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 중앙아시아 국가 중 인구가 가장 많고 약 17만명의 고려인이 거주하며 인구의 약 88%가 무슬림으로 치킨 활용 메뉴가 주력인 맘스터치에 유리한 시장으로 평가된다. The Chinese teahouse operator, which is in the final stages of selecting a South Korean partner,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JV as early as this year and prepare for the first store on the peninsula. Theborn Korea launched a globalization campaign to promote Korean cuisine with a new lineup of signature sauces and simplified recipes. CEO Paik Jong-won unveiled seven all-purpose sauces, with four more set for release later this year.
8/28/2025
LG생건, 음료 자회사 해태htb 매각 추진
LG생활건강은 자회사 해태htb 매각을 추진, 매각 대금 2500억원 수준으로 지난해 매출 4140억원, 영업이익 36억원이었고 회사 측은 "여러 방안을 검토중이나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같은 소송에서 패한 지 1년만에 빙그레가 서주를 상대로 낸 포장지 표절 소송에서 지난 21일 승소, 빙그레에 따르면 이번에 법원은 메로나의 포장 디자인에 들어간 투자와 노력을 인정해 주는 결정을 내렸다. A new certification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space food needed for long-term stays in space. Space food and health advisors will be certified by nutritional experts of the Japan Society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Companies are restructuring operations or rethinking M&A as they feel the heat from slowing sales and face pressure to transform their ingredient lists.
8/24/2025
세븐브로이맥주, 코넥스 상장폐지
한국거래소는 한국의 첫 수제맥주 기업 세븐브로이맥주에 대해 코넥스시장 상장폐지를 결정, 2023년 3월 대한제분과 상표권 계약을 종료한 후 곰표밀맥주를 더 이상 팔지 못하게 되면서 실적이 곤두박질쳤다. 2023년 네이처에 “기후변화가 유럽 홉의 생산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50년까지 홉 생산량은 2018년 이전 대비 최대 18.4%, 알파산 함량은 최대 30%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Abnormal weather conditions and rising global temperatures are threatening world-wide production of hops, the key ingredient in beer. However, Kirin Holdings has developed a technique to create heat-resistant hops during the seedling cultivation process without sacrificing their aroma, bitterness and flavor. “Even as global warming worsens, we want to maintain hop yield and quality through this research to continue making delicious beer,” Kirin’s Imahori said.
8/19/2025
내수부진에 발목 잡힌 식품업계
주요 식품기업들이 해외 사업 호조에 매출이 증가하고도 경기 침체와 고물가 탓에 국내 소비 부진이 장기화하며 수익성이 악화, CJ제일제당, 롯데웰푸드, 오뚜기, 농심 등이 지난 2분기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이랜드이츠는 반궁, 스테이크어스, 테루, 데판야끼다구오, 아시아문, 후원 등 다이닝 브랜드 6개와 더카페, 카페루고, 페르케노 등 카페·디저트 브랜드 3개를 매각키로 하고 최근 삼정KPMG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했다. Today, Korean food is widely available, from supermarkets in the U.S. to convenience stores in Japan and even in-flight meals in the Middle East. Driving this growth is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cuisine from home-cooked tradition to a globally distributed industry powered by technology. The first breakthrough was in low-temperature fermentation and sterilization.
8/12/2025
내수·수출 동반 확대에 식품株 '훨훨'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 소비심리가 살아나고 있는 데다 K푸드 열풍에 힘입어 수출 실적도 확대된 영향에 삼양식품, 오리온, CJ제일제당 등 국내 증시 음식료 관련주들이 상승가도를 달리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10년 평균 국내 상장사 배당 성향은 26%이나, 국내 식음료 상장사의 경우 절반가량(9개)이 평균 배당성향에 못 미쳤고, 배당성향이 30% 이상인 기업은 8곳으로 배당성향이 10% 미만인 기업은 삼양식품과 사조대림 , 하림 등 3곳에 달했다. Korean food conglomerate Dongwon Group posted a 57.7% yoy jump in operating profit for the second quarter of 2025, driven by higher seafood prices and robust food exports, the company said. As Korean food products ride a wave of enduring global demand, Samyang Foods has overtaken Japan’s Toyo Suisan Kaisha Ltd., the dominant ramen leader in the US, in market value after its shares surged 90% this year.
8/7/2025
식품업체들, "인기 日 식품 모셔라" 분주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이 한국에 수출한 농림수산물·식품 액수는 약 47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3% 급증, 식품 업체들도 현지인기 일본 제품을 국내에 들여오고 마케팅 활동도 활발해졌다. 롯데GRS가 음식료·리조트 사업을 하는 말레이시아 '세라이 그룹'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 차우철 대표는 "동남아시아 추가 진출과 미국 1호점을 통해 글로벌 프랜차이즈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orean pizza chain GoPizza has signed a master franchise agreement with Hextar Group, marking its official entry into Malaysia. The first outlet is expected to launch in early Q4 this year. Originally launched as a food truck in South Korea, GoPizza has gained recognition for its personal-sized pizzas, served in under five minutes. The brand now operates more than 1200 outlets across South Korea, India, Singapore, Indonesia, and Thailand.
8/4/2025
기린홀딩스, 경영전략회의에 AI 참여
일본 맥주 회사 기린홀딩스가 마케팅이나 법무 등 12개 전문 분야에 능숙한 AI 임원을 경영전략회의에 참여, AI임원인 코어메이트는 회의 안건에 대해 전문적인 논점이나 의견을 생성해 PC를 통해 경영진에게 제시한다. 한국산 쌀의 일본 수출량이 2025년 상반기 급증해 416톤에 달하며 통계가 시작된 1990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 닛케이는 한국산 쌀의 일본 수출이 급증한 이유를 일본의 쌀값 급등으로 분석했다. A total of 195 major Japanese food and beverage makers will raise the prices of 1,010 items in August, Teikoku Databank said in a survey report. The price increases will be especially noticeable for dairy products, including milk and yogurt. Japan's exports of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and other food items grew 15.5% from a year earlier to $5.48 billion between January and June, the agriculture ministry said.
7/27/2025
여름 맥주 전쟁, 승자는 일본?
지난 12일 오픈한 서울 성수동 ‘삿포로 프리미엄 비어스탠드'엔 생맥주를 1년 365일 경험할 수 있는 매장으로 일본 긴자의 ‘삿포로 생맥주 블랙라벨 더 바’ 콘셉트를 한국에 도입, 올해 여름에는 일본 맥주가 강세인 모양새다. 말레이시아 내 최대 한국 식품 유통업체인 KMT그룹은 한류가 끌어올린 K푸드의 인기에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자 최근 K플러스 푸드마켓을 열고 한국형 마트 운영에도 나섰다. Want to re-create the "Han River ramen" dining experience seen in South Korean TV dramas without heading to Seoul? Visitors to Tokyo's Harajuku district can now get a taste of Seoul. Nongshim opened a Shin Ramyun Bunsik pop-up shop in June that will last for a year. "Bunsik" is Korean for "food made from flour" and commonly refers to inexpensive Korean dishes like ramen and tteokbokki simmered rice cakes.
7/22/2025
K푸드 글로벌 확장 가속
OTT 콘텐츠를 통해 K컬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K푸드의 해외 수요도 함께 증가, HY, 빙그레, 오뚜기 등 식품사들이 제품 수출을 넘어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페레로, 펩시코, 허쉬, 크래프트 하인즈 등 미국의 식음료 기업들이 변화하는 소비자 기호와 정체된 성장률, 규제 압력 속에서 포트폴리오 재편과 자산 매각 또는 인수 전략에 나서고 있다. Government data shows the share of Korean restaurants in the country has declined for six consecutive years, falling to 41.8 percent of all eateries in 2024, down from 45.6 percent in 2018. The new research looked at 16 examples across 18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ere prices spiked in the short term as a result of either extreme heat, drought or heavy precipitation between 2022 and 2024.
7/16/2025
‘건강기능식품’ 오아, 스팩 합병 승인
오아가 미래에셋비전스팩2호와 합병 상장을 위한 안건을 승인,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삼대오백’은 단순 건기식이 아닌 헬스장 이용자 중심 기능성 제품군으로 2030 남성층을 겨냥한 포지셔닝이 돼있다. 삼양사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국제식품기술박람회 'IFT 2025'에 참가, AI 기반의 당류 저감 표준 3S 솔루션과 제품을 알리고 업계 트렌드를 파악해 미국 시장에서 판매 확대를 추진한다. A fine dining restaurant in Seoul is under prosecutorial investigation for violating Korea’s Food Sanitation Act by serving dishes topped with edible ants. Government guidelines permit only ten insect species, including grasshoppers, mealworms and silkworm pupae, for use as food ingredients. Some critics have called the regulation overly rigid, arguing that blanket bans on unconventional ingredients stifle culinary innovation.
7/11/2025
삼양식품, 소스 업체 지앤에프 인수 추진
삼양식품이 농심과 오뚜기에 라면 스프를 납품하고 코인 육수도 생산하는 지앤에프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며, 지앤에프 인수와 관련해 "그룹 차원에서 다양한 검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삿포로맥주는 12일 서울 성수동에서 문을 여는 '삿포로 프리미엄 비어스탠드'는 일본 도쿄 긴자의 '삿포로 생맥주 블랙라벨 더 바'의 콘셉트를 한국시장에 그대로 도입, 지난해에는 사실상 '노저팬'인 불매운동 이전 수준을 회복하며 제2의 전성기를 맞고있다. Kirin Brewery rolled out a trial of a recently-developed beer brand in Taiwan, as the Japanese drinks group tries to expand beyond its home market which is in decline as the population shrinks. Taiwan will be the first market outside Japan to sell Harekaze beer, a brand launched in April 2024 that Kirin says is popular with consumers who do not normally drink beer.
7/7/2025
7월 라면·빵·커피 최대 반값 할인
농식품부가 식품·유통기업들과 물가 안정 방안을 논의한 결과, 여름 휴가철에 가공식품 할인 행사를 진행키로하고 대형마트와 편의점들은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라면과 빵, 커피 등을 최대 50% 저렴하게 판매한다. 국민연금이 올해 2분기 식음료 업종 농심, 오뚜기 등 주요 상장사 보유 비중을 줄인 가운데 삼양식품 지분만 확대, 전반적인 소비 침체 속에서도 해외 수출 성장성이 반영된 선택으로 해석된다. As the reciprocal tariff suspension deadline approaches, U.S. President Trump is intensifying his trade pressure on key partners, including Japan and Korea. “Even U.S. stakeholders understand that the 30-month age limit contributes to their strong market share in Korea,” a trade official said. “The United States may use beef as leverage but is more focused on digital trade issues like Google Maps and network usage fees,” said another trade expert.
7/1/2025
국내 시장 포화에 해외 눈돌리는 커피업계
국내 커피 시장이 '10만 카페' 시대에 진입하며 포화 상태에 이르자 매출 확대가 어려워진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들이 최근 2~3년간 베트남, 싱가포르, 일본 등 한류 소비층이 두터운 지역을 중심으로 매장을 열고 있다. 국내 커피 시장 경쟁은 날이 갈수록 격화하며, 블루보틀이나 팀홀튼의 고전하고 있고 커피 시장 강자로 꼽히는 ‘스타벅스’도 각종 행사를 통해 커피 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소비자를 유인하고 있다.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Samyang Foods, known for its globally popular Buldak spicy ramyeon, has exceeded $7.3 billion for the first time, the main bourse said. Global coffee chains such as Blue Bottle and Canada’s Tim Hortons are changing tack in South Korea’s cut-throat coffee market, where both appear to have muffed their attempts to localise their offerings.
6/25/2025
AI 기반 ‘신선식품 통합 분석센터’ 구축
디어니언이 ‘신선식품 통합 분석센터’를 공식 출범하며 농산물 유통에 데이터 분석 체계를 본격 도입, 가격 변동 요인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변동성이 높은 신선식품 품목에 대해 데이터 기반의 구매 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 들어 5월 말 현재까지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3억5359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0% 증가, 김과 쌀 등 주력 품목에 힘입어 2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Consumers prefer dog food brands that use natural, organic ingredients. More people are reading labels carefully, looking for options without fillers, artificial preservatives, or by-products. Dog food brands are moving online to reach customers. The growth of online shopping, especially among younger consumers, has increased recently. As pet owners become more health-conscious, tailored diets are becoming popular.
6/17/2025
백종원 ‘파격할인’ 통했나?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가 빽다방 아메리카노 500원 행사 등 파격적인 할인 행사를 실시하면서, 행사 대상 브랜드 가맹점의 방문 고객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65% 이상 늘었다. 삼양식품의 틱톡 불닭 글로벌 공식 계정에서 팔로워 수가 지난해 말과 비교해 갑절가량 증가한 100만을 돌파, 삼성과 현대자동차 등에 이어 국내 브랜드 중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Korea's food and drink prices ranked the second highest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ember economies, data showed. Korea's CPI came to 116.03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marking a 16% increase over the past five years, according to data from Statistics Korea. The index for daily necessities came to 119.09 in the first quarter, while the index for food prices alone stood at 125.04.
6/10/2025
국제 유지·설탕·곡물 등 가격 하락
지난달 세계 식량 가격지수가 127.7로 전달보다 0.8% 하락했는데 유지류 가격지수는 3.7% , 설탕 가격 지수는 2.6%, 곡물 가격지수는 1.8% 각각 하락해 새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와 맞물려 국내 식음료 가격 하락 여부도 주목된다. 업계에 따르면 큐캐피탈과 코스톤은 필리핀 식품 기업 졸리비를 노랑통닭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고 매각가액은 1000억원 중반대로 전망되며, 졸리비는 지난해 7월 컴포즈 커피 지분 100%를 4700억원에 인수하기도 했다. This year's event features a record 1,639 food companies from 45 countries showcasing their products to some 300 buyers from around the world. Korean companies plan to explore opportunities to export some $250 million worth of food products to the United States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where K-food continues to gain high popularity, according to the ministry.
6/4/2025
대선 직전까지 식음료 줄인상 붐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CJ푸드빌의 뚜레주르, 롯데GRS의 엔제리너스, 동서식품 등 가격인상이 최근까지 지속됐는데,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 물가 안정에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권우정 교보증권 연구원은 삼양식품이 글로벌 초과수요 속 생산능력을 확대하며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목표주가를 133만 원으로, 투자의견을 ‘BUY(매수)’로 각각 유지했다. Japanese brewers are staging a comeback in the Korean market after a three-year hiatus, as they advertise new products ahead of the peak summer season, company officials said. The company hopes to win back its former Korean customers, who have been boycotting Japanese products since Japan removed Korea from a preferential trade list in 2019. Meanwhile, Asahi was once the best-selling imported beer in Korea.
5/28/2025
식품업계, 대선 전 가격 인상 스퍼트 '눈살'
새 정부가 들어서면 민생 안정을 위해 물가 안정책을 전개할 가능성이 높은데, 식품업계가 지금이 아니면 어렵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며 영리 추구만을 위한 가격 인상 움직임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일 구설에 오르며 여론이 악화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의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빽다방’이 상생 지원책의 일환으로 여름 성수기 시즌을 맞아 할인행사를 진행, 다음달 10~12일에는 대표 메뉴인 핫·아이스 아메리카노를 500원에 판다. Self inspections will now be allowed among South Korean food firms which utilise ‘simple processing’ like cutting, peeling, drying and washing, in a bid to improve food safety. The number of coffee shops, eateries and convenience stores in South Korea is on the wane amid a prolonged economic slowdown and sluggish domestic demand, data showed.
5/22/2025
다시 부는 K-푸드 한류 훈풍
농식품부와 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45개 국가관이 참가하고 75개국 5000여 기업과 19만여 명이 방문한 ‘2025 상하이 국제식품박람회’에서 1800만 달러 규모의 업무협약과 현장계약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메가MGC커피와 컴포즈커피 등 저가커피 브랜드들이 대형 매장 출점을 확대, 빅 브랜드를 중심으로 대형·특화 매장 출점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저가 브랜드까지 외형을 키운 출점 전략으로 모객과 매출,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An outbreak of bird flu at a Brazilian poultry farm - the source of over 80 percent of Korea’s imported chicken - has sparked concerns throughout the chicken and food service industries here. Brazilian authorities said that the virus was detected at a farm in Montenegro, a city in the state of Rio Grande do Sul, which produces 60% of Brazil’s total chicken output.
5/19/2025
한화, 아워홈 인수 마무리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우리집애프앤비를 통해 아워홈 지분 58.62%를 총 8695억 원에 인수를 위한 거래 대금 지급을 완료하고 계약을 최종 마무리, 한화푸드테크를 통해 식음 사업을 해온 만큼 시너지를 낼거란 기대다. 삼양식품의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37% 증가한 5290억원, 영업이익은 67.2% 늘어난 1340억원으로 집계, 하반기에도 공장 증설을 통해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거란 전망이다. Once seen as a lifeline for self-employed individuals, the franchise industry in Korea is experiencing turmoil as an economic slump continues to erode profitability. Franchisees often enter the business believing in the power of brand recognition, only to find themselves in conflict with the head office over issues like product pricing, marketing costs and projected revenue.
5/8/2025
CJ제일제당, 日 새 식품 생산기지 구축
CJ제일제당은 오는 7월 일본 치바현에 짓는 신규 만두 공장을 완공하고, 9월부터 비비고 만두를 생산해 일본 전역에 공급한다고 밝히고 이를 통해 일본 현지 사업의 대형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동원F&B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1천948억원, 540억원으로 6.8%, 8.2% 증가, 주력 사업에서 안정적인 실적을 거뒀고 조미식품과 펫 푸드, 간편식 등 제품 다각화 전략을 통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A consortium of Japanese companies that make bento boxed meals offered at train stations has seen a surprising rush of demand halfway around the world in Switzerland. Hanazen, Maneki Foods and Matsuura Shoten banded together to launch the Ekiben Japan Station Bento store at Zurich Central Station, Switzerland's largest rail station. When the pop-up shop first opened on Feb. 6, all of the eponymous ekiben meals sold out within two hours.
5/1/2025
더본코리아, 결국 일부 가맹점 정리 수순
경기 침체 여파에도 지난해까지 호실적을 이어갔던 식품업계가 고환율·재룟값 상승 등 원가 압박이 커지며 조만간 발표될 1분기 실적에서 다수 식품사가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거둘 것이란 관측이 힘을 받고 있다. 2023년부터 2024년 진행된 다수 지역 축제에서 산업용 금속 조리기구를 사용하고 식품용인 것처럼 오인하도록 해 고발된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에 대해 경찰이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Paik-seok doenjang, a soybean paste produced by Theborn Korea, was marketed as a domestically produced product despite being made with imported ingredients. Paik faces criticism over two other issues: low pork content in the Paik ham and insufficient tangerine content in a tangerine beer.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an indoor liquefied petroleum gas cylinder was being used in a space where chicken was cooked, violating safety regulations.
4/25/2025
더본코리아, 결국 일부 가맹점 정리 수순
더본코리아는 총 25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나, 지난해 기준 절반 이상인 16개 브랜드의 점포 수가 감소, '빽다방', '홍콩반점', '역전우동' 등 주력 브랜드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추세다. 식약처에 따르면 1분기 식품 수입 동향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입건수는 2.9%, 금액은 3.5% 증가, 요거트와 꿀 등의 수입이 많이 증가했는데 국내 수급 불안정과 SNS의 영향에 따른 소비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Hitejinro, South Korea's leading beverage company, said that the cumulative sales of its Jinro soju have surpassed 2.3 billion bottles in the domestic market since the product's launch in 2019. Hitejinro manufactures 100 percent of its soju products at domestic production facilities. Its first overseas plant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in Vietnam.
4/20/2025
'불닭' 삼양식품 시총 7조원 넘었다
해외에서 불닭볶음면 돌풍을 이어가는 삼양식품 시가총액이 처음으로 7조원을 돌파, 내수 시장보다 수익성이 좋은 수출이 전체 매출의 80%에 이르며 지난해 미국과 중국 법인의 고성장에 힘입어 해외 매출이 1조원을 넘었다. 투썸플레이스, KFC, 버거킹이 비용 부담 증가를 이유로 식음료 판매 가격을 올리면서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드러나며, 해당 업체들이 가격을 올려 비용 부담을 소비자에게 그대로 떠넘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Once overshadowed by mainstream choices like soju and beer, traditional Korean alcohol has experienced a resurgence since the early 2020s. Riding this wave of renewed interest, some breweries now offer hands-on experiences, allowing participants to craft their own customized traditional drinks while learning about the history and diversity of Korea’s alcohol heritage.
4/15/2025
동원F&B, 동원산업 100% 자회사로 편입
동원산업이 계열사인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고 국내외 식품 4개 사를 사업군으로 묶으며, 글로벌 식품 시장에 적극 진출해 제2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적 판단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해외 수출 1조원 시대'를 연 국내 제과업계가 국내외 공장 신증설과 법인 설립을 통해 중국, 인도, 유럽 등으로 영토 확장을 가속화, 침체된 내수시장을 벗어나 K스낵이 글로벌 간식문화로 확실히 자리잡는 중요한 해가 될 전망이다. Dongwon Group announced that Dongwon Industries will acquire full ownership of its food affiliate, Dongwon F&B, and merge it with three oth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od subsidiaries into a single division, a move aimed at unifying operations and boosting its global push. The two companies plan to hold a shareholders’ meeting on June 11 to approve the swap.
4/9/2025
K푸드 열풍에도 작년 식품사 직원 줄어
지난해 K푸드 열풍 속에서도 국내 경기회복 지연으로 기간제 일자리가 감소, 오뚜기 등 일부를 제외한 주요 식품회사 직원들이 줄줄이 짐을 쌌고 자연 감소분만큼 신규 채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미국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원료 구매자금을 추가 지원하고 농식품 수출바우처 및 수출보험 확대로 수출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리스크 대응 강화 및 시장 다변화를 추진한다. Trump’s surprise move to impose a 25% tariff on imports to the US from South Korea starting is set to disrupt key exports, with food products at their peak. Ramyeon led the charge with $1.36 billion in sales, accounting for 19.4% of total K-food exports, while the US emerged as the top importer, as the destination for 20.8% of the total exports. The impact may be harsher for Korean food companies without US-based production.
4/3/2025
탄핵 정국에 신난 식품업계
탄핵 정국에 외식 물가지수 상승률이 3%대를 보이는 등 식품·외식 물가 오름세가 나란히 3%대를 기록, 비상계엄 이후 정국 불안 속에 올해 들어 현재까지 가격을 올린 식품·외식 업체는 40여개에 이른다. 한경협에 따르면 식료품·비주류음료의 10년 물가상승률이 전체 물가상승률보다 2배로 높았던 것으로 분석,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유통규제를 개선하고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과 같은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Analysts noted that some food manufacturers took advantage of political instability to push through price increases beyond what could be justified by cost pressures alone. Processed food prices jumped 3.6% in March from a year earlier, the sharpest increase since January 2024. Higher food costs also led to increased restaurant prices, with dining inflation rising 3.0% for the second straight month.
3/29/2025
세계 2위 커피 프랜차이즈, 본격 가맹사업
‘캐나다 국민 카페’로 유명한 팀홀튼이 다음달부터 가맹 사업을 시작, 현재 16개인 매장 수를 3년 후 150개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로 경쟁이 치열한 한국 카페 시장에서 팀홀튼이 두각을 나타낼지 주목된다. 새만금개발청이 ‘바이오리액터’라고 불리는 큰 수조에서 김을 재배하는 ‘육상 김 양식 기술’로 작년 물김 생산에 성공한 풀무원, 스위스·네덜란드 등의 국제 식품 관련 기관들과 합작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한다. The Kolkata-born, Bangkok-based, self-styled rebel chef’s eponymous restaurant, Gaggan, won the crown at the 2025 Asia's 50 Best Restaurants awards ceremony held in Seoul on March 25. Mingles, Korea’s only three-star Michelin restaurant, secured the fifth spot, while Onjium ranked 10th, 7th Door ranked 23rd and Eatanic Garden placed 25th. 11 in Japan won Asia’s 50 Best Restaurant honors.
3/25/2025
대상, 식품업체 참푸드 250억원에 인수
대상이 돼지불고기, 소불고기 등 양념육과 밀키트를 생산하는 업체인 참푸드의 지분 100%를 250억원에 인수, 식육 유통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수익 기반을 강화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식약처가 '제55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식품첨가물분과위원회'를 개최, 식품첨가물의 일반규격 제·개정, 안전성 평가 우선순위 목록 제안, 국제번호시스템 개정, 제빵용 효모 기준 검토 등의 주요 안건이 논의된다. Shifting the classification paradigm from the ‘processing level’ to the ‘refinement level’ could serve as a more appropriate system for describing PBPR foods in terms of food processing and health aspects. This system should also be better communicated (via food classification) to assist consumers in making healthier food choices and the food industry in developing healthier products.
3/18/2025
식음료업계, 주총 '분기배당·경영 안정화' 집중
식음료업계가 오는 21일 농심을 시작으로 주주총회 시즌에 돌입, 올해 주총에서 바뀐 규정에 따라 분기배당을 조정하고, 내·외 변수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하며 경영을 안정화하는데 집중할 전망이다. 농식품부가 전략작물인 밀·콩·가루쌀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식품기업 60개소를 선정, 선정된 업체에는 전략작물을 활용한 시제품 생산, 포장, 소비자평가, 홍보까지 신제품 개발 전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Louis Latour is a representative wine from the Burgundy region, primarily imported by Ayung FBC in South Korea. Bruno Pepin, director of Louis Latour, said, 'Louis Latour produces wines across 84 classifications from entry-level to Grand Cru, with over 100 varieties available.' The Burgundy region experiences relatively warm summers without excessive heat, allowing grapes to ripen slowly and evenly.
3/11/2025
농심 가격 인상에 라면·소스업체까지 수혜
농심이 신라면 등 전체 57개 브랜드 중 17개의 출고가를 17일부터 평균 7.2% 올리겠다고 발표, 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별도 영업이익 추정치 1001억원 대비 22%의 개선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외식업 업황이 ‘불황의 늪’으로 빠지며 지난해 외식업 프랜차이즈 정보공개서 등록취소 사례는 1313건으로 집계, 최근 3년간 가장 빠른 속도로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가맹 중단 사례는 역대 최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We find that immigrant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number of restaurants or foreign food establishments. Instead, they a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low-cost, time-efficient restaurant categories, whereas native Koreans exhibit broader preferences across a wider range of restaurant types. The findings highlight that immigrants in South Korea prioritize affordability and time efficiency when choosing restaurants.
3/4/2025
K소스 전쟁 뜨겁다
고물가 영향으로 '집밥족'이 늘어나며 간장, 고추장, 된장 등 전통 장류는 물론 간편 소스 등 신제품 각축이 벌어지고 K푸드 열풍에 편승해 200조원이 넘는 글로벌 소스 시장에 진출하는 식품사들이 잇따르고 있다. 중국 아이스크림·버블티 체인 미쉐(Mixue)가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4만5000개 매장으로 맥도널드, 스타벅스 등을 제치고 매장 수로 세계 최대 식음료 체인으로 올라섰다. Manufacturers of bottled water and beverages must use a certain percentage of recycled materials in bottle production. The bill requires raw material producers who make over 10,000 tons of PET resin per year to 3% of recycled resources in material production. The amendment will result in about 10 bottled water and beverage manufacturers using an estimated 20,000 tons of recycled materials per year, the ministry said.
2/26/2025
원재료값 상승·꽉 닫힌 지갑, 식품기업 '죽을 맛'
고환율과 원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부담이 커진 가운데 내수 침체가 지속되면서 상대적으로 내수 비중이 높은 CJ제일제당, 농심 등 국내 주요 식품기업 상당수가 지난해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시장의 성장과 함께 베트남 내 대규모 F&B 기업이 성장하고, WTO 양허에 따라 2015년부터 외국인 투자자가 베트남에서 100% 외국인 소유 레스토랑을 설립할 수 있게 되면서 한국을 비롯한 해외 프랜차이즈의 진출도 더욱 활발해졌다. While K-pop and K-dramas lead the pack in popularity, Hallyu, or the Korean Wave, now encompasses food, film and more, an annual study showed. In social media discussions, kimchi emerged 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orean dish, often associated with words like “spicy” and “delicious,” according to the report. In K-food, Korean cuisine gained global recognition, with New Jersey declaring Nov. 22 “Kimchi Day.”
2/19/2025
日 쌀가격 급등에 '즉석밥' 수혜 기대
지난해 말 기준 일본 쌀가격은 평년 대비 69% 급등, 쌀 수입이 제한돼 있는 상황에 가공식품으로 분류되는 즉석밥 수입으로 이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제품들이 일본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더본코리아가 인수할 만한 F&B 업체를 물색 중으로 한 PE 대표는 “치킨같이 더본코리아에 없는 종류의 F&B가 인수 후보군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지 않겠느냐”며 “디저트의 경우엔 요즘 인기가 좀 떨어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Korean food brands have gained global traction, fueling investor confidence. In 2024, Korean food exports hit $11.7bn, up 6% from the previous year, with US shipments surging 20%. PEFs now see strong international growth potential, leading to a renewed push for acquisitions. Affinity Equity Partners-owned Burger King Korea and Mom’s Touch are reportedly back on the market, signaling renewed deal activity in the sector.
2/11/2025
삼양식품, 7조 일본 국물라면 시장 공략
삼양식품은 오는 12~14일 일본 치바현 마쿠하리 멧세 전시장에서 열리는 '제59회 슈퍼마켓트레이드쇼'에서 부스를 운영, 일본 시장에 감칠맛을 강조한 대중적인 매운맛을 구현한 국물라면 '맵'을 론칭하고 시장 공략에 나선다. CJ제일제당은 내수 소비 침체와 원가 부담을 겪고 있는 국내 식품사업 매출은 5조7716억원으로 1.8% 감소했지만, 햇반 등 주요 가공식품의 성장과 온라인 채널 매출 확대로 식품사업부문은 매출액 11조3530억원, 영업이익 6201억원을 달성했다. Samyang Foods is on track to become Korea’s most profitable instant noodle maker in 2024, as the export performance of its hit Buldak instant noodle product lineup, has been bolstered by a stronger dollar. HiteJinro announced that it has officially kicked off construction of its first overseas soju production facility at the Green i-Park industrial complex in Thai Binh province, Vietnam.
2/5/2025
삼양식품, 작년 영업익 3442억원
삼양식품이 '불닭볶음면'의 수출량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영업이익 3442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3000억원을 돌파했고 당기순이익은 272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5% 늘었다. 프랜차이즈 기업 노랑통닭 매각을 위한 투자안내문 배포를 앞둔 큐캐피탈파트너스와 코스톤아시아가 해외 매각을 우선 고려하고 있어, 해외 원매자와 접촉한 뒤 국내 마케팅에 돌입할 예정이다. South Korean private equity firms Q Capital Partners and Corstone Asia are preparing to sell chicken franchise Norang Tongdak, with plans to target foreign buyers before launching domestic marketing efforts. Norang Tongdak is reportedly valued at around $150 million. In 2024, the company posted $11.3 million in EBITDA, with its cash reserves contributing positively to its valuation.
2/1/2025
스타벅스 매장 2009개 '파죽지세', 레드오션이 뭐예요?
외식 업계와 스타벅스 글로벌 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스타벅스 매장 수는 2009개로 집계, 1만7049개의 미국과 7685개의 중국에 이은 전 세계 매장 수 3위에 해당하며 4위인 일본보다는 18개 앞선다. 스타벅스커피 재팬이 15일부터 도쿄와 공항 등 600여개 매장에 한해 메뉴 가격을 인상, 식료품 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치밀한 가격 전략으로 고객 수를 유지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Starbucks hit 2,000 locations in South Korea as of the end of last year, making the country the coffee chain's third-largest market afte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by outpacing the Japanese market. South Korea's per capita annual coffee consumption is estimated at 405 cups in 2023, some 2.7 times the global average of 152 cups, according to market research firm Euromonitor.
1/22/2025
스벅 커피에 오뚜기 컵밥까지 인상
스타벅스코리아는 24일부터 커피와 티 카테고리 일부 음료 등 22종 가격을 인상하고 오뚜기는 2월 1일부터 컵밥 7종, 옛날 사골곰탕 제품 가격을 각각 12.5%, 20% 인상하며, 일각에선 '식플레이션'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이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빽컴메 매장 중 2023년 기준 명의를 변경했거나 계약을 해지한 점포는 총 828개로 2년 전 대비 151%가 증가, 점포 거래 시장에서 빽컴메(빽다방·컴포즈커피·메가MGC커피) 점포의 매물이 늘고 있다. South Korea may consider a plan to increase US food imports to help reduce the trade imbal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should it emerge as a point of tension with Trump’s incoming administration. South Korea relies heavily on food and energy imports to sustain its 52 million population and is a key buyer of US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beef, wheat, corn and fruit.
1/15/2025
공정위, 오비맥주 제재
공정위는 거래상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해 대리점에 불이익을 준 혐의로 오비맥주에 행위 금지·계약조항 수정 및 삭제 등 시정명령을 부과하기로 결정, 대리점들은 과도한 담보 부담과 보증인을 탐색하는 등 개설과 운영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K-푸드의 인기를 업고 수출액이 늘며 국내 식품사들이 ‘4조 클럽’ 시대를 열었지만 경기침체와 국내외 경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식품사들에게는 내실을 다져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Korea is setting its sights on augmenting its food and related product exports to $14 billion this year, with a focus on penetrating emerging markets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as disclosed by the MAFRA. A key component of this export drive is the emphasis on premium fresh produce, including strawberries and grapes, underscoring Korea's endeavor to elevate its agricultural product offerings on the global stage.
1/8/2025
벼랑 끝 피자 프랜차이즈, 돌파구 있나
원부자재 가격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대폭 올린 탓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국내 피자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1인 가구의 증가와 냉동 피자의 약진, 배달 시장의 경쟁 심화 등이 겹치며 ‘생존의 기로’에 서있다. 아영FBC는 칠레 와인 ‘디아블로’가 2019년 연간 판매량 100만병을 넘은 이후 지난해 200만병 넘게 팔렸다고 밝히며, ‘1만원대 가성비’ 전략에다 편의점 중심의 접근성으로 호평받고 있다고 아영FBC는 자평했다. Hite Jinro has made its latest push into the American premium wine sector by exclusively launching two Oregon wines in the local market. The move comes just a month after the company had become the exclusive distributor of Founding Brothers and Hora, two fine wines from another American winery, Cathyad Vineyard in Napa Valley.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re have been successive acquisitions of American wineries by major Korean businesses.
1/3/2025
식품업계, 장기화된 내수침체에 세계로 영역 넓힌다
SPC그룹이 미국 텍사스 주 벌리슨 시에 15만㎡ 규모의 제빵 공장을 건립하는 등 저출산·고령화가 고착화되고 내수 침체가 장기화되자 주요 식품회사들이 2025년 글로벌 영토 확장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아이더스에프앤비는 푸라닭 치킨 브랜드에서 바질페스타와 제너럴 핫 치킨, 파불로 치킨을 제외한 치킨 메뉴 10종 가격을 최대 1000원 인상, “원재료, 임대료, 배달앱 등 물가 상승 지속에 가맹점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했다. Outbound shipments of snacks and confectionery reached a record $706 million during the first 11 months of 2024, up 16.5% from a year ago, according to the data. Overseas sales of beverages also jumped 14.9% on-year to a new high of $609 million over the cited period on strong demand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outh Korea's office cafeteria companies, including Hyundai Green Food, Ourhome, and Samsung Welstory plan to expand overseas markets with the popularity of Korean food.
12/24/2024
커피·코코아 가격, 또 연중 최고점 경신
올해 고공행진을 이어오며 주요 식음료 기업들의 제품 가격 인상을 이끌었던 국제 커피·코코아 가격이 이달 들어 또다시 연중 최고치를 경신, 최근 가격 인상을 단행한 국내 식료품 기업들은 또 다시 고민이 깊어지게 됐다. 신한투자증권은 삼양식품에 대해 최근 급등에도 업사이드는 충분하다며 목표주가를 86만원으로 19.4% 상향 조정, 단기적으로는 내년 5월 말 밀양 2공장, 장기적으로는 2027년 1월 말 중국 현지 공장 완공 후 외형 성장 가속화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The government will lift the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duty-free bottles of liquor that travelers can bring in from overseas to boost the duty-free shop sector and reduce the patent fees by half. Considering that the domestic duty-free sector has been facing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global consumption patterns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with overseas duty-free shops, the government explained it had formulated this plan.
12/18/2024
메가MGC커피, 겨울 신메뉴 3초에 1개씩 팔려
메가MGC커피는 크리스마스 컨셉 겨울 신메뉴가 재밌는 컨셉과 식음료 트렌드를 반영한 원재료, 이색메뉴를 활용해 출시한 것이 주효, 출시일로부터 약 한 달간 3초에 1개씩 팔리며 누적 판매량 130만 개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법원이 가맹점주들이 제기한 소송에서 패소해 210억원 상당을 배상하게 된 한국피자헛의 회생절차를 개시하기로 결정, 한국피자헛 측은 채권자 목록을 내년 1월2일까지 제출해야 하고 채권 신고 기간은 같은 달 16일까지다. Pizza Hut Korea will enter corporate rehabilitation after failing to negotiate the payment of a $15.2 million fine it incurred for allegedly adding costs to materials without the store owners’ consent. Pizza Hut now has until March 20 to submit a final application to the court. The court will assess the firm’s assets, liabilities and creditors, among others,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y’s public interest value is worth more than it going bankrupt.
12/11/2024
식음료 업계, 잉여현금흐름 27.7% 감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내 상장사 중 최근 3개년 비교 가능한 261개 기업의 3분기 개별기준 잉여현금흐름을 조사한 결과, 식음료 기업 21개 사의 올해 3분기 누적 잉여현금흐름 총액은 1조392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338억원 감소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파동으로 올 한 해 지속적으로 물가 안정 압박을 받아오던 식품업계가 도미노 가격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며, 서민들 먹거리 물가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New food trends happening outside the country are transforming familiar Korean foods in ways almost unheard of among local Koreans. The fads have spread online among people around the world - and back to Korea - even entering into mass production overseas in some cases. Rising exchange rates could push South Korea’s already elevated food prices even higher next year, experts warn, as the country’s heavy reliance on imported food ingredients makes it particularly vulnerable to currency fluctuations.
12/4/2024
CJ, 식품 해외매출 비중 50% 첫돌파 눈앞
CJ제일제당의 해외 식품 사업 매출액은 2019년 3조1540억원에서 지난해 5조3861억원으로 4년 만에 70%이상 성장, 올해 K푸드 열풍을 타고 해외 식품 사업 매출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설 전망이다. 김포시는 북한과 불과 1.4㎞ 떨어진 애기봉평화생태공원 조강 전망대에 글로벌 카페 프랜차이즈인 스타벅스를 유치, 스타벅스가 입점한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1일까지 총 4165명이 다녀갔다고 밝혔다. Starbucks will open on Friday a South Korean store in a park observatory roughly 1.5 kilometers from the border with North Korea, offering customers a view across the Demilitarized Zone separating the two countries. The coffee chain's shop, located in the Aegibong Peace Ecopark in the city of Gimpo, features panoramic views of the Han River and North Korean residential areas.
11/30/2024
'미국 나스닥 입성' 윙입푸드
'국내 상장 해외기업 최초' 나스닥 듀얼 상장 기업이자 '국내 상장 중국기업 최초' 나스닥 상장을 앞둔 윙입푸드가 공모가를 주당 4달러로 확정, 생산라인·설비 확충은 물론, 신성장 동력인 식물성 대체육 설비 라인 확대 등에 투자할 예정이다. 바이오협회는 협회 산하 바이오미래식품산업협의회, 아시아 최고 대체 단백질 싱크탱크 'GFI'와 배양육 등 대체 단백질 산업 발전을 위한 3자 간 양해각서를 체결, 정책 제안, 기술 혁신을 위한 공동 웨비나·워크숍 개최 등 협력 활동을 추진한다. Food tech organisations have signed a deal to advance the alternative protein industry in South Korea, where cultivated meat is set to make its entry soon. Research indicates that interest in cultivated meat remains high among Koreans, 90% of whom are willing to give it a go. A research team at Stanford is unraveling the role that texture plays in how we experience taste and the foods we eat.
11/26/2024
식음료업계, 하반기 가격 도미노 인상
다음달 주요 먹거리와 생필품 가격의 대거 인상 전망에 식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주요 원부재료 상승에 고환율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후 위기 등 당장 해결할 수 없는 글로벌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노랑통닭과 피자나라치킨공주 등이 새로운 주인을 찾고 있고 명륜진사갈비는 인수 절차가 진행 중으로 최근 불황형 소비가 늘어나면서 재조명 받고 있는 식음료 프랜차이즈 업종이 인수합병 시장에서 활기가 돌고 있다. SPC Group said that its bakery brand Paris Baguette has opened its first chain store in Britain, also the first in Europe, as part of its global expansion strategy. Britain is only the third country after U.S. and China where SPC has launched a franchise business of the bakery brand outside of Korea. SPC said it plans to open more than 100 Paris Baguette shops across Britain by 2030 and expand the franchise business to other parts of Europe.
11/18/2024
내수 부진 식품사 '신사업·해외’ 모색
농심·오리온 등 식품사들이 국내 시장에선 물가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해외 시장에선 수익성 중심의 사업을 강화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내수 리스크를 돌파하겠다는 구상으로 올 연말 해외 사업 강화와 신사업에 잇따라 나선다. 올해 3분기 음식료업체들이 전반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삼양식품은 돋보이는 실적으로 기록했고, 경쟁사인 농심은 '어닝쇼크'를 면치 못하는 등 희비가 엇갈렸다. Uber Eats released their sixth annual Cravings Report, which divulges the year’s most popular delivery requests. While tequila seized the top ordered spirit in last year’s report, in 2024, vodka reigns supreme once again. Of the top five most popular alcohol orders, vodka is the only hard liquor, as the remaining spots are filled by beer and wine brands. This year, the top five non-alcoholic drinks were all zero-proof beers.
11/11/2024
음악·식음료, 업종 초월 묶음구독 시대
영국의 결재 전문업체 방고의 말호트라 CMO는 "이제는 단일 서비스를 구독하는 형태에서 온라인동영상서비스를 기본으로 음악, 쇼핑, 식음료 배달 및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한데 묶어 이용하는 '슈퍼 번들링'이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5일 일본 사이타마시 미나미구에 개점한 식음료 매장 ‘하레토케’는 카와다 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넥스트에이지’ 2대를 도입, 커피를 내려주고 일본 단팥빵인 도라야키를 만드는 작업에 활용되고 있다. Major Korean food products are increasingly replacing dishes on dining tables worldwide as the country’s top producers are targeting key local spots in export countries to promote K-food. Agricultural and food exports this year from January to last month tentatively rose 8.7% year on year to a record-high $8.19 billion, the 14th consecutive month of growt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aid.
11/5/2024
동서식품 커피 제품 가격 평균 8.9% 인상
국내 인스턴트 커피 1등인 동서식품이 국제 원두 가격이 오른 것을 배경으로 인스턴트 커피, 커피믹스, 커피음료 등 제품의 출고 가격을 오는 15일부터 평균 8.9% 인상,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 가격 동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동원산업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한 1천744억원으로 잠정 집계, 미국 자회사인 스타키스트의 민사소송 합의금 2천100여억원이 반영되며 3분기 당기순손실은 751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Local festivals in Korea on the theme of bunsik, Korean light meals and snacks, are enjoying unprecedented success, drawing hundreds of thousands of visitors in recent weeks. Prices are set to rise in November for 282 products from 195 major food and beverage companies in Japan, up 102.9% from a year earlier, a private research firm said. According to the firm, the upcoming price increases can be attributed to higher material costs and will be led by processed food and snacks.
10/31/2024
더본코리아, 식음료·푸드테크 기업 인수할 것
빽다방 등 25개 외식 브랜드를 운영 중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IPO 기자간담회에서 “간장, 소스 등을 생산하는 식음료 기업과 푸드테크 기업을 인수, 소스를 공급할 수 있는 업체를 확보해 시너지를 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동원그룹은 수산, 식품, 소재, 물류 등 그룹의 핵심 사업 축 마다 AI를 적극적으로 접목시키고 던킨 원더스는 최근 오프라인 매장 콘셉트 대부분을 AI를 적용해 제작했으며, 정관장은 생성형 AI 기술로 제작한 '활기력 맥스' 광고를 공개했다. 'Sogokju' is a Korean seasonal delicacy with the longest history as a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 made in the mountainous village of Hansan in Seocheo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is known to have been a popular drink for the royal family of the Baekje Dynast. Usually, sweet drinks are not suitable for meals, but Hansan Sogokju shows its true value when paired with rice and Korean dishes.
10/27/2024
더본코리아, 기업공개 수요예측 흥행
최근 15년간 할리스에프엔비 등 다수의 기업이 상장했으나 대부분 상장폐지되거나 거래가 정지된 상태인 식음료 프랜차이즈업에, 더본코리아의 최종 공모가가 3만4000원으로 확정되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지 주목된다. 불닭볶음면의 인기로 올해 3분기 고마진 국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삼양식품의 영업이익률이 20%를 넘나들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농심·오뚜기의 영업이익률은 한 자릿수에 그칠 것으로 관측된다. A chef made famous by a hit Netflix show is poised to boost South Korea’s struggling initial public offering market, listing his restaurant chain in a deal that may value his stake at about $180 million. Taisei Hikage is fighting a losing battle at his Tokyo ramen shop - not to attract customers, but to keep a lid on the price he charges for Japan's national comfort food in the face of an incessant rise in ingredient and fuel costs.
10/21/2024
‘차세대 K푸 드’ 경쟁
식품업계가 차세대 K푸드로 당장 매출 기여도는 낮지만 브랜드 확장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거란 판단에 소스를 선정, 전통적인 소스 제조사들이 시장을 주도했다면 최근 라면, 치킨 등 K푸드 수혜 기업들이 소스를 상품화하고 있다. 롯데중앙연구소는 대한화학회 학술발표회에서 사람의 오감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토탈 센서리 시스템' 구축 성과와 이를 토대로 고안한 식품 평가 정량화 방법 및 초콜릿, 커피 원료의 품질 모델에 대해 발표했다. This year's list of 100 restaurants and bars is broken down into Korean food, Asian food, Western food, grilled food, vegetarian food, cafe and dessert, and bar and pub, the Seoul city government said. After snubbing Japanese products for years, South Koreans are once again guzzling beer from Japan, especially premium beverages. When Lotte Asahi Liquor in July opened a pop-up bar in Seoul dedicated to its popular Super Dry brand, it offered the drink both on tap and in a can with a top that fully opens, producing a head of foam like a draft b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