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Retail News
Top stories summarized by our editor
10/21/2025
챗GPT서 월마트 상품 곧바로 구매
삼일PwC의 홍성표 M&A센터장은 “지금의 K뷰티는 대기업이나 해외 브랜드와의 정면 경쟁이 아닌 새로운 소비자층을 겨냥해 합리적 가격과 차별화된 품질로 10~30대 수요를 대거 유입시켰다”고 설명했다. 패션브랜드 '마뗑킴'이 6년 만에 매출을 40배로 늘려 2000억원을 달성한 전망으로 모기업 하고하우스 관계자는 "마뗑킴은 의류와 액세서리가 거의 절반씩으로 비슷해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The once-clear boundaries between retailers are dissolving as PB products appear across competing platforms. “Selling strong PB products through external channels offers both marketing and revenue advantages,” a retail industry official said. The PB boom, however, has raised concerns about friction with national brands. Coupang was previously indicted for allegedly manipulating search rankings to favour its own PB products.
10/15/2025
챗GPT서 월마트 상품 곧바로 구매
향후 소비자들은 챗GPT에서 '즉시 결제' 기능을 이용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고 월마트 측은 설명, 오픈AI는 여러 개의 상품을 한 번에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이런 쇼핑 기능을 미국 이외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유럽연합이 구찌와 끌로에, 로에베 등 명품 브랜드가 소매점의 할인을 금지하는 등 경쟁 행위를 위반했다며 약 2580억 원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 반(反)경쟁적 행위가 소비자에게 가격 인상과 선택권 축소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Seven-Eleven said it will be the first in the industry to sell six versions of the “Seven Select cashmere crewneck knit,” which uses premium cashmere. Seven-Eleven then added eight PB sock items and underwear. As a result, fashion category sales from April to the present rose 20% from a year earlier. Seven-Eleven plans to continue introducing apparel items for the winter season going forward.
10/10/2025
G마켓, 동남아 이커머스 '라자다' 제휴
쿠팡이 일부 대기업들이 오랜 기간 시장점유율의 70% 이상을 선점하고 있는 식음료 시장에 지역 우수 식품 중소제조사들이 치열한 경쟁상황에서도 최근 수년째 고속성장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4·4분기 소매유통업계 경기 전망이 다시 꺾임세로 돌아서자, 대한상의는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지속, 업태 간 경쟁 심화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4·4분기 전망치가 상승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다"고 해석했다. According to KCCI, the retail business survey index for the fourth quarter came in at 87. The KCCI cited a combination of factors for the decline, including the slowing economy, sluggish domestic demand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across retail sectors. In response, the government plans to launch the nationwide Korea Grand Festival from Oct. 29 to Nov. 9 to help revive consumer sentiment.
10/1/2025
G마켓, 동남아 이커머스 '라자다' 제휴
G마켓이 이커머스 '라자다'와 제휴해 국내 판매자들의 해외 판로를 확장,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등 5개국 약 1억6000만명의 현지 고객층을 기반으로 새로운 매출 확보 기회를 창출할 예정이다.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기상 여건이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약 0.09%포인트 낮춘 것으로 추정했고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연휴 전후 소비 증가 효과가 한 달 정도 시계에서는 뚜렷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Korea’s duty-free retailers might have an easier time as a visa-free scheme for Chinese travelers comes into effect from September 29. Lotte, Shilla and Shinsegae are also hopeful that a shift in exchange rates might work in their favor. As well as focusing on attracting group tourists from China through pre-marketing efforts, Lotte Duty Free will home in on second- and third-tier Chinese cities where wealth has been steadily rising.
9/23/2025
의류기업 갭, 뷰티 확대
미국 의류‧액세서리 기업 갭이 4명의 경영진을 신규 영입, 딕슨 회장은 “상품영역을 확대하는 데 그치지 않고 포트폴리오 가운데 뷰티‧액세서리 부문을 성장엔진으로 장착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세 상권으로 꼽히는 성수동은 국내 최대 규모로 몸집이 커지면서 대형 K패션 브랜드부터 K뷰티, 아이웨어, 유명 편집숍 등 다양한 업종이 공존하고 최근에는 의류 중심에서 뷰티, 선글라스 등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Shinsegae is making its Singapore debut through a partnership with Metro, launching a pop-up at Paragon. Following the pop-up, the collections will remain available until the end of October, giving shoppers extended access to Shinsegae’s curated portfolio. Erwin Wuysang-Oei, CEO of Metro Singapore, said the partnership marks its shift from a traditional department store towards a more fashion-focused retail model.
9/16/2025
쿠팡 추격 '합종연횡'
'쿠팡 독주' 체제에 맞서 네이버와 손을 잡은 컬리는 첫 결과물로 '컬리N마트'를 출시,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그룹이 추진 중인 합작법인 승인 여부도 임박하면서 이커머스 업계의 합종연횡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요즘 유통가에선 모바일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면 오토바이 등으로 즉시 배송해주는데, 배송시간이 하루→반나절로 짧아지더니 최근 들어서는 1시간 단위로 줄며, 퀵커머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BGF Retail, which operates CU, said that after the global success of “KPop Demon Hunters,” foreign customers are increasingly reaching for K-food items featured in the film, including gimbap, ramyeon, chips and gukbap.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KTO, 1.73 million foreign tourists visited Korea in July, a 23.1% rise on-year. Convenience store food has become a must-try for many visitors, with sales data reflecting the trend.
9/13/2025
외국인 돌아온 명동, 패션 심장 다시 뛴다
최근 외국인 관광객 수요와 맞물려 4차 한류 붐과 함께 명동이 K-뷰티와 K-패션이 재조명되면서 패션 브랜드 입점이 다시 활발해지고 올리브영, 무신사 등 K-뷰티·패션 리테일은 폭발적인 성장세로 매출 상위권에 올랐다. 이마트가 퀵커머스 운영 점포를 현재 61개에서 연말까지 80여개 점으로 확대, 이마트 관계자는 “퀵커머스 운영 상품수를 올해 안으로 1만개 이상으로 확대해 고객에게 최적의 장보기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orean shoppers are now indulging their taste for luxury with American labels such as Ralph Lauren and Coach - once dismissed as passé - echoing a trend already underway worldwide. Ralph Lauren and Coach reported sales growth of 30% and 22%, respectively, in the world's second-largest economy last quarter, attracting price-sensitive Chinese consumers amid a prolonged economic downturn.
9/8/2025
무신사 타운 성수동, 역 이름도 ‘무신사역’
서울 성수동에 조성 중인 ‘무신사 타운’이 지하철 2호선 성수역의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에서 최종 낙찰되며, 기업공개를 앞둔 무신사는 향후 3년간 성수역 출입구와 승강장 역명판 등에 자사 이름을 추가할 예정이다. 노르딕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아르켓이 오는 9월 6일부터 무신사 엠프티 성수에서 국내 첫 팝업 스토어를 오픈, 29CM 공식 입점을 시작으로 스타필드 고양점에서 브랜드 첫 단독 매장을 운영 중이며, 오는 10월 스타필드 하남점 내 2호 매장 오픈을 앞두고 있다. Fashion retailer Arket, part of the H&M Group, is opening its first pop-up shop in South Korea. The pop-up is located in the Musinsa Empty Seongsu, a concept store that offers brands a platform. The Seoul pop-up is part of Arket’s continued expansion in Korea. It coincides with the brand’s launch on the Korean e-commerce platform 29CM in the same week. Arket will also expand its physical presence in the country in the autumn.
9/2/2025
불황 속 ‘뷰티 열풍’, 왜?
루이비통은 지난달 처음 선보인 초고가 일부 립스틱이 매진에 이어 5000원 이하 제품만 판매하는 다이소의 올 상반기 화장품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0% 증가하는 등 화장품의 소비 양극화가 뚜렷하다. 미국이 800달러 미만의 소액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한 세금 면제 제도를 전면 폐지, 전미경제연구소는 이 제도 폐지로 미국 소비자들이 최소 109억달러, 가구당 약 136달러의 비용을 추가 부담할 것으로 전망했다. The increasing online penetration is not unique to Korea. With more consumers gravitating online for general merchandise and even food, it is no surprise that the online channel takes up 50% of the overall retail merchandise. Given the intense competition, some retailers are tailoring offerings to meet the preferences of Korean consumers. Superior merchandising and curated value are key differentiators for both online and offline retailers in Korea.
8/27/2025
무신사, IPO 앞두고 오프라인 몸집 키우기
무신사가 9월 5일 서울 롯데월드몰에 무신사 스탠다드 스포츠 단독 매장을 오픈, 상장을 앞두고 오프라인 확장에 이어 사업 다각화와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글로벌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정책이 일부 미국 소매업체들의 수익을 잠식하며 최소 2개 기업이 파산 보호를 신청하는 등 위기를 초래, 대규모 소매업체가 조정할 자원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소규모 기업은 생존을 두려워하고 있다. Korean retailers saw their sales increase 9.1% from a year earlier in July, largely on cash handouts aimed at boosting domestic consumption, data showed. The ministry attributed the growth in retail sales to "consumption coupons" handed out by the Lee Jae Myung administration to stimulate private consumption and revitalize the economy. In the online sector, sales of food products, home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and services jumped 32.9%, 16.9% and 16.7%, respectively.
8/22/2025
6월 6만7000개 폐업, 43%가 소매·음식점업
국세청에 따르면 올해 6월에만 폐업한 사업자가 6만7000개에 달하고 그중 43%는 소매업과 음식점업으로 소매업 1만8000개, 음식점업 1만1000개, 부동산업 7000개, 도매 및 상품중개업 4000개 순으로 많았다. 쿠팡과 네이버의 양강 체제가 굳어지는 가운데 G마켓·SSG닷컴·11번가·롯데온 등 오프라인 유통기업의 이커머스는 물론 전통적 1세대 이커머스도 줄줄이 부진을 면치 못하며 국내 이커머스 시장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Musinsa did not disclose IPO details, but the Seoul-based company could seek a valuation of about $7.2 billion during the listing, potentially minting a fortune for founder Cho Man-ho.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Coupang, Naver, Kurly, and OASIS recorded revenue growth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while SSG along with GMarket, 11Street, and LotteOn, saw a decrease in revenue.
8/16/2025
홈플러스, 15개점 추가 폐점키로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한 지 5개월이 지났지만 인수·합병 의향자를 찾지 못한 데다 매출 감소로 긴급 생존경영 체제로 전환, 임대료 인하 협상에서 진전이 없는 점포 15곳을 우선 폐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카드 국내 승인액은 작년 동월보다 6.3% 증가했고 중국인 관광객 수는 올해 1월 이후 6개월 만에 30%대 증가율을 기록, 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10.8로 6월보다 2.1p 올라 넉 달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A wave of beauty-shopping tourists is turning Olive Young’s stores into must-visit stops in South Korea, pushing overseas shoppers to account for more than a quarter of the retailer’s in-store sales. These outlets combine extensive product offerings with multilingual services, interactive beauty zones and cultural programming designed to appeal to global customers.
8/11/2025
6조 퀵커머스 전쟁, 문구-꽃-의류도 1시간 배송
퀵커머스 경험을 통해 플랫폼 충성도를 높이고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기업들은 배송 경쟁력을 유통업계의 핵심 화두로 보고 주문 후 1∼2시간 내 고객 집 앞까지 전달하는 ‘퀵커머스’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롯데쇼핑, 신세계 등 국내 주요 유통업체들의 2분기 성적이 부진, 업계 관계자는 "상반기 비용 부담이 컸지만 하반기에는 체질 개선과 마케팅 강화로 매출과 이익을 동시에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While speculation swirls over which players might step in, market watchers point to e-commerce giant Coupang as best positioned to acquire the chain, becoming a full-spectrum retail powerhouse. While no definitive suitor has yet stepped forward to acquire Homeplus, industry insiders have suggested retail operators, such as Coupang,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Shinsegae's E-mart and Lotte.
8/6/2025
亞서 유럽까지 깃발 꽂는 K패션
국내 패션 브랜드들이 영문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거나 e커머스 플랫폼 등을 통해 진출했던 것에서 벗어나, 현지에 단독 매장을 오픈하며 적극적으로 해외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AI 기반 맞춤형 큐레이션으로 한국의 패션·뷰티·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전 세계 소비자와 연결하는 글로벌 O2O 플랫폼 '다나야드'를 운영하는 슬로크는 오는 9월 4일 프랑스 파리 마레 지구에 오프라인 스토어 상설매장을 연다. Daiso, the largest discount store chain in South Korea, has turned the broader slump in offline retail into a growth opportunity, emerging as a game changer in the sector. Retail industry observers expect Daiso to sustain its growth momentum as it is expanding its product line to more expensive offerings, alongside Daiso-only products. Analysts estimate the corporate value of unlisted Asungdaiso Co., the parent company of Daiso, at $7.2 billion-7.9 billion.
7/30/2025
中 유통업체 '2차 공습'
테무·알리익스프레스 등 C커머스의 초저가 직구 공습에 이어 배달앱·라이프스타일·오프라인 매장까지 확장을 본격화, 유통업계는 생활 밀착형 플랫폼까지 들어왔다며 장기전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다. 패션 플랫폼 업계 자체 판매 시스템과 물류를 통합한 '풀필먼트'를 강화, 입점 셀러들이 해외 진출에 겪고 있는 난관을 해결·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온라인 쇼핑몰의 경쟁력과 물류 역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Seoul officials plan to recommend regulatory changes requiring online retailers to disclose their review-sorting algorithms and strengthen oversight. Major international platforms have implemented more transparent and user-friendly review systems. For instance, Costco and Rakuten highlight one positive and one critical review deemed most helpful, while Sephora flags incentivised reviews and allows users to filter them out entirely.
7/21/2025
무신사, 신발 게시판서 '산업의 축'으로
이종우 아주대 교수는 “무신사는 후기와 콘텐츠를 통해 스타일링 실패, 사이즈 고민이라는 이커머스의 구조적 약점을 보완했다”며 “커뮤니티를 정보 기반 큐레이션 플랫폼으로 전환한 점이 주요했다”고 평가했다. 정부가 국민 90%에게 최대 45만원까지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통한 대규모 소비 진작책이 소비자심리 회복에 불을 지피며 편의점·프랜차이즈는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반면 대형마트·이커머스는 전략 수정에 돌입했다. The FIs have set the target enterprise value at over $7.2 billion and are considering options for listing o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including the KOSPI and the NASDAQ. A key factor in Musinsa’s pursuit of a higher-than-expected valuation is its rapidly growing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observations that this growth trend may not continue steadily.
7/15/2025
3분기 소매유통 경기전망 4년만에 최고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전망치가 102로 집계, 새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소비쿠폰 지급 등 소비 진작책이 여름 휴가철과 시너지를 낼거라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주요 백화점들이 K패션·뷰티 브랜드를 단순 입점이 아닌 현지 백화점·쇼핑몰과 협업해 팝업스토어를 열고 유통 인프라를 바탕으로 파리, 일본 등 국내 신진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Japanese Don Quijote and Chinese Miniso has lately opened stores in Seoul. Yoyoso, another Chinese brand with over 3,000 stores in 80 countries, is expected to open its first store in Korea in Gunsan, North Jeolla Province, later this month.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mpanies into Korea follows a rising consumption trend focused on price-competitive retail outlets for everyday products.
7/10/2025
MZ 픽 ‘올다무’, 불황도 피했다
내수침체 지속에도 올리브영과 다이소, 무신사가 눈에 띄는 성장세를 이어가며 올해 K-문화 인기에 힘입은 글로벌 시장 공략과 체험 서비스 강화, 배송 경쟁력 확대 등 전략을 내세워 내실을 더욱 다진다는 방침이다. 자체 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는 오는 10월 2일 경기 안양 롯데백화점 평촌점에 신규 매장을 오픈할 예정으로 지난달 신세계 프리미엄아울렛 시흥점과 커넥트현대 청주점에도 매장을 오픈했, 매월 1~2개꼴로 오프라인 매장을 확대 중이다. In today's luxury retail industry, innovation, immersive experience, and emotional connection have emerged as key drivers of growth and long-term success. As consumers seek more than transactional value, industry leaders are reimagining physical spaces into retail-tainment, lifestyle, and storytelling platforms. As one of Singapore's most iconic retail landmarks, ION Orchard continues to set new benchmarks in luxury shopping.
7/6/2025
내수부진 하반기 긴 터널 끝날까
지난해 이어 상반기에도 각종 내수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전문가들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추가경정예산안 조기집행의 속도가 하반기 내수 반등 여부를 가를 것으로 전망했다. 130년 만에 가장 더운 6월을 보낸 요즘 일본의 대표적인 패션 기업들은 기존의 사계절 대신 여름을 ‘초여름·한여름’과 ‘폭염기’로 쪼갠 ‘오계절’ 체제로 옷을 기획, 전통적인 코트 대신 소매 없는 코트, 시스루 블라우스, 허리까지 오는 하프코트가 전면에 등장했다. Columbia Sportswear has opened its Harajuku flagship store, marking the brand’s largest retail location in Japan to date. Columbia has also launched a collection of limited-edition items exclusive to the Harajuku store, created in collaboration with north Nado, a Fukuoka-based designer and DJ. It features the largest product lineup in the country, ranging from technical gear for hiking, fishing, and camping to urban lifestyle pieces from the Columbia Black Label.
6/30/2025
초저가 경쟁 치열한 유통업계
미니소, 요요소, 헝그리 판다 등 중국계 유통 기업들이 최근 오프라인 매장은 물론 음식 배달 플랫폼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며 영향력을 확대, 국내 중소 유통업체나 자영업자에게 구조적인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 5월 소매업 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2.2% 늘어난 약 120조2705억원을 기록, 일본 경제산업성은 쌀을 비롯한 식품 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드럭스토어와 슈퍼마켓 등의 판매 호조가 소매매출 증대에 기여했다고 지적했다. The message is clear: invest in retailers that control both ends of the supply chain and offer seamless digital experiences. The NRF's data underscores the omnichannel imperative: retailers blending physical and digital channels outperform peers. Japan's retail scene is under pressure as inflation climbs past targets, with diverse sales results challenging economic growth. Japan's retail fluctuations reflect broader economic shifts, with inflation affecting spending habits.
6/23/2025
초저가 경쟁 치열한 유통업계
지난해부터 뜨거워진‘초저가 경쟁’이 올해 들어 더 치열해지는 모양새로 유통업계가 원재료 선매입, 공정 효율화 등을 통해 저가 상품을 꾸준히 발굴하고 있고 마진을 줄이면서까지 가격 낮추기에 몰두하고 있다. 삼정KPMG는 '저성장 시대, 오프라인 유통의 생존 전략' 보고서를 통해 국내외 오프라인 유통기업들의 생존 전략으로 유통 포맷 다변화, 해외 시장 개척, 리테일 미디어 비즈니스 확대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A Korean court approved Homeplus’s plan to sell the struggling company, in a move that the court said was aimed at providing funds to repay creditors and to ensure job security for employees at the company. A spokesperson for MBK said that it will support the successful sale of the company and plans to write off $1.83 billion worth of common shares that it holds in the company as part of the sale.
7/25/2025
플랫폼 끌고 오프라인 밀고
무신사가 제품 제조 매출을 수수료 매출과 유사한 수준으로 키우는 '투트랙 전략'을 통해 수수료 매출에만 의존하는 플랫폼 비즈니스 형태에서 벗어나는데 성공, 더디던 매출 성장세가 제품 매출 증가로 인해 가팔라졌다. 온라인 중심으로 영향력을 키워온 중국 유통 기업들은 저가형 오프라인 매장을 앞세워 공세에 나섰고, 일본 대형 유통사들은 팝업스토어 운영과 상표권 등록 등으로 본격적인 시장 진입 준비를 마쳤다. The LVMH-owned brand sells high-end suitcases, bags and accessories. Luxury travel accessories brand Rimowa has unveiled its first street-front store in central Japan’s Chubu region, the Rimowa Store in Sakae, Nagoya. A partitioned customer service area provides a relaxed shopping experience, featuring furniture designed by Marcel Breuer, who studied furniture design at the Bauhaus in Germany.
6/16/2025
치솟는 물가에 '실속형 소비' 확산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소비자들은 하나를 사더라도 만족감이 높은 '가심비'를 중요하게 여겼지만, 장바구니 물가는 물론 외식비까지 빠르게 치솟으며 상황이 달라져 가성비 중심 소비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홈플러스는 계속기업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을 추진, 오린아 LS증권 연구원은 "기존 유통업체보다는 다른 쪽에서 인수자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MBK Partners is seeking to sell its embattled Korean supermarket chain Homeplus by issuing new shares, to avert liquidation of the retailer, the Northeast Asia-focused PEF said. Starbucks has recently introduced time- and condition-specific discount events such as 'One More Coffee' and 'Evening Events'. There are analyses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n order counts and time distribution have not met expectations.
6/9/2025
서울 주요 상권 빈 점포 줄었다
서울시 상권분석 서비스에 따르면 성수 지역 전체 유동인구 중 20대 여성 비중은 약 17%이며 최근 일본 뷰티 브랜드 시로는 한국 첫 매장으로 성수를 선택했고, 프라다뷰티와 딥티크도 부티크 매장을 열었다. 명품 소비 트렌드가 가방이나 의류에서 주얼리로 바뀌고 있는 데다, 최근 혼인이 늘면서 예물로 럭셔리 주얼리를 찾는 수요도 더해지며 경기 불황 및 내수 부진에도 초고가 명품 주얼리 매출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South Korea’s retail sales rose 7% year-on-year in April 2025, driven by a 15.8% jump in online sales,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MOTIE. Offline sales fell 1.9% as consumer confidence weakened and more shoppers moved online. Hy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dropped 3.1% and 2.9%, respectively. Luxury goods were the only bright spot offline, rising 1.1%. Most other offline categories declined.
6/2/2025
新고객 공략 나선 유통업계
유통업계가 점차 해외로 시선을 돌리는 가운데 일부 업체들은 방한한 외국인 관광객들을 집중 공략, 일본을 찾는 관광객들이 ‘돈키호테’를 무조건 방문하듯 한국에서는 올리브영이 여성 외국인 관광객들의 필수코스가 됐다. 서울 주요 상권에서 매장을 운영 중인 브랜드들은 관광객 유입이 재개된 이후 외국인 고객 매출이 급증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계기로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결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IKEA’s decision to replace its iconic maze-like store layout with a simplified, straight-line design signals a wider transformation in the retail landscape - one that prioritises efficiency, flexibility, and brand clarity. The shift, however, is not without its challenges. According to Turnbull, Creative Director at Studio X, the transition to more efficient formats should not be seen as an “all or nothing switch.”
5/27/2025
경기 침체 장기화에 카페·편의점 감소
코로나19 때도 증가했던 커피음료점이 올해 1분기에 처음 감소하고 대표적인 자영업 창업 업종으로 꼽히는 편의점마저 감소했으나 학원, 뷰티·스포츠 관련 서비스업, 전문직 사업장은 증가세가 지속돼 대조를 이뤘다. 일본정부가 지난해 두 배 수준으로 뛴 쌀값을 떨어뜨리기 위해 정부 비축미를 수의계약 형태로 구매할 소매업자를 직접 모집, 고이즈미 농림상은 "한층 강한 속도감과 위기감으로 국민 불안을 불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Japan's agriculture ministry says it will start selling government stockpiles of rice directly to retailers, so the grain can reach consumers at lower prices. The plan follows a series of competitive auctions that failed to bring down soaring prices of the staple crop. Prices will be set at roughly half the level of the average winning bids from the recent auctions.
5/21/2025
쿠세권 vs 네세권, 퀵커머스 격돌
자체 물류망에 기반해 ‘쿠세권’을 확장 중인 쿠팡에 맞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가 이륜차 배송 기반 퀵커머스 ‘지금배달’ 서비스를 시작, 배송은 입점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쓰고 있는 배달대행업체를 통한 직송 방식으로 이뤄진다. 업계 관계자는 "인구 등 한정된 시장 규모로 이커머스, 배달 등 대고객 플랫폼들이 성장 한계에 도달한 상황에서 이미 보유한 인프라로 최대한 많은 영역에서 사업 확장을 시도하는 것"이라며 "전체 유통시장 대비 높은 성장률 등 잠재력도 크다"고 설명했다. French luxury group Chanel will maintain its elevated capital spending this year despite a 4.3% decline in sales last year and growing market volatility, particularly in Asia and the US. As the economic downturn in Korea slows growth in the domestic market, competition for market share among companies is intensifying, according to analysts.
5/13/2025
불황에 신차보다 더 잘 팔리는 중고차
케이카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15억원, 매출 6047억원을 기록, 신차 구매 부담이 커진 소비자들이 중고차를 선택하면서 완성차 업계가 인증하는 중고차는 물론이고 중고차 플랫폼까지 경쟁에 나서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인하 합의 소식에 뉴욕 증시에서 나이키, 풋락커, 파이브 빌로우 등 소매 관련 주식이 급등했으나 반면 관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식료품 체인들의 주가는 하락했다. “The real retail reality is that while headwinds like tariffs and store closures persist, the disruption from e-commerce appears largely behind us,” Anjee Solanki, Colliers analysts, said. One reason for this is the realization on the part of direct-to-consumer brands that stores are a critical channel, whether they run them or sell via wholesale to other retailers. Another is that many traditional retailers knocked off balance by the rise of Amazon, and online commerce in general, long ago established their own e-commerce.
5/7/2025
식품·외식 소비 이례적 동반 감소
마트·시장 등에서 식재료 구매와 외식이 동시에 줄어드는 전례 없는 현상이 2년 넘게 지속, 채소·과일에 이어 가공식품까지 고물가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경기 부진으로 가계 살림이 팍팍해진 탓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온라인으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촉각, 후각, 청각 등 오감 기반의 경험이 구매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오프라인 매장이 판매 채널을 넘어 브랜드 경험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The University of Michigan’s consumer sentiment index was at 52.2 in April, having only been lower briefly in 2022 and in 1980. In an inflationary environment, economic sentiment is likely to be weak and could well disconnect with real spending levels. Sentiment indicators may not be much use until memories of inflation fade.
4/29/2025
진격의 ‘올무다’ 매출 10조 돌파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올리브영·무신사·다이소의 연간 매출 총합은 10조 51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20.2% 증가한 규모로 2023년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수요 증가가 한몫을 하고 있다. 경기침체와 고물가 등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며 최근 온라인 플랫폼들이 리커머스 시장에 주목, 이중에서도 패션 부문의 중고 시장 점유율은 2023년 18.1%에서 2027년 24.3%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TikTok plans to enter Japan’s ecommerce market, preparing to onboard sellers for its TikTok Shop platform. This platform allows users to sell products during livestreams and earn commissions. Despite regulatory challenges in the US and a 2024 law requiring ByteDance to divest its US operations, TikTok continues to grow in other international markets.
4/24/2025
심상찮은 이커머스 지각변동
알리·테무 등 중국계 C커머스가 국내 시장을 파고들고 네이버와 컬리가 사업 제휴를 맺는 등 최근 이커머스의 합종연횡이 활발해지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성장한 이커머스 시장 구조에 재편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농·축·수산물의 온라인 거래액은 12조8천294억원으로 2019년 대비 3.4배로 증가, 소비 위축으로 소매판매액이 전년보다 0.1% 감소한 상황에서도 농·축·수산물의 온라인 매출은 17.2%나 늘었다. The MOTIE said the current AI utilization rate among local retail companies remains below 3%, but more active adoption of the technology is need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sector amid fierce global competition and rapidly evolving consumer trends. Korea will work to apply AI technology in retail businesses as part of efforts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the highly competitive sector, the ministry said.
4/19/2025
토스·다이소 급부상, 이커머스 판 흔든다
업계에 따르면 핀테크 업체 토스와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의 이커머스 부문 월간활성이용자수가 나란히 400만명을 돌파, 네이버와 알리·테무 등의 공격 마케팅이 더해져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가 4개월 연속 3%대를 기록, 특히 지난달 쌀값은 전년 동월과 비교해 92.1%나 올랐고 전기·도시가스 요금 상승은 둔화했지만, 쌀 등 식료품 고공 행진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These newly delineated retail boundarie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researchers, governments, and other relevant stakeholders by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retail geography. This dataset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analyses on topics such as pandemic recovery, retail gentrification, and the resilience of retail spaces in response to e-commerce growth, ultimately contributing to more robust retail sector research in South Korea.
4/14/2025
이커머스에 밀려난 핫플
지난해 주요 상권 공실률은 가로수길이 39.4%, 강남 20%, 청담 17.4%, 홍대 14.4%, 한남·이태원 11.5% 등으로 식음료 소비는 배달로 대체되고, 패션 리테일은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며 상가의 입지 중요성이 계속 약해지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명예교수는 “소비자가 미래 소득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필수 소비만 하는 전형적 경기불황형 소비”라며 “내수 진작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Japanese retail holding company Fast Retailing has reported consolidated revenues of $11.81 billion in the six-month period ended February 28, 2025, marking a 12.0% increase year-on-year. This marked a record consolidated performance for the group, driven by exceptionally strong results in the first half and significantly increased revenue and profit from Uniqlo operations across Japan, Southeast Asia, India, Australia, North America, and Europe, Fast Retailing said.
4/7/2025
유통업계는 할인 전쟁 중
헌재가 대통령의 탄핵안을 인용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자 유통업계는 대형 할인 행사를 진행, 업계 관계자는 “정치적 이슈보다 소비 여력 자체가 줄어든 상황이 바뀌지 않으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테무는 작년 한국법인을 설립하고 지상파 방송 PPL을 실시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전개, 테무의 지난 3월 월간활성이용자수는 전년 동월 대비 6.1% 증가한 약 675만 명으로 알리와 격차는 37만 명까지 좁혀졌다. President Trump signed an executive order ending a tariff exemption that allowed goods shipped from China valued under $800 to avoid duties. Small-value shipments accounted for one-tenth of all China’s exports to the U.S. last year. Closing the loophole would also affect U.S.-based retailers like Amazon, Walmart, and eBay, whose sites feature some sellers that ship directly from China - but the impact would likely be much less.
4/1/2025
소매산업 내 편의점 입지 좁아질 전망
김명주 한투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소매산업 내 편의점 채널의 시장점유율은 5.8%로, 작년 1분기 대비 소폭 하락할 전망”이라며 “최근 편의점 산업 내 점포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더딘 점, 할인점과 같은 다른 유통 채널의 경쟁력 회복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올해 점유율 회복은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일본 체감경기를 반영하는 2025년 2월 소매업 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1.4% 늘어난 약 120조5730억원을 기록, 시장 예상 중앙치는 2.0% 증가인데 실제로는 이에 0.6% 포인트 밑돌았다. Retail sales, a key gauge of private spending, climbed 1.5% in February from a month earlier. However, compared to a year earlier, retail sales fell 2.3%. Despite the positive figures, the agency largely attributed the rebound to a base effect, as all indicators saw sharp declines in January due to fewer working days caused by the long Lunar New Year holiday.
3/27/2025
이커머스 소비자 관심도, 쿠팡이 압도적 1위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지난 1월과 2월 전체 이커머스 관련 포스팅 수는 총 274만893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77%나 급증, 온라인으로의 쏠림현상이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홈플러스가 다음 달 2일까지 창립 28주년 기념 ‘홈플런’ 3차 행사인 ‘창립 홈플런 성원 보답 고객 감사제’를 진행, 유통업계는 그 배경에 상거래채권 대금 지급을 위한 현금 확보 목적이 있다고 보고 있다. South Korean consumer sentiment weakened anew in March as political divisions intensified, falling to 93.4 from 95.2 in Februar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Gov. Lee strongly questioned MBK Partners' credibility in paying back Homeplus’s creditors, as the finance regulator’s probe into the private equity firm on alleged investor fraud continues.
3/23/2025
유통 대기업 임원들 짐 쌌다
소비 침체와 경쟁 심화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 유통업계가 비용 절감 노력의 하나로 임원 수와 관련 비용을 줄이며, 이마트·신세계·롯데쇼핑 등 유통 대기업 3사의 미등기임원 21명이 지난해 짐을 쌌다.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같은 달보다 3.0% 상승, 3개월 연속 3.0%대를 유지했으나 전기와 가스 요금에 대한 정부 지원이 재개된 영향에 상승 폭은 전달 3.2%에서 0.2% 줄어들었다. Where should brands and retailers prioritize their efforts to make the greatest impact? They must deliver engaging experiences - ones that align with consumer expectations, foster trust and loyalty, and respond to shifting market demands. The key lies in understanding what truly matters to today’s consumers: Unlock channel growth, Adapt to compete, Lead with purpose - Aligning with customer values.
3/17/2025
홈플러스, 제2 티메프 사태 우려
국내 소비자의 ‘장보기 트렌드’ 변화에 이커머스가 국내 유통 시장 주도권을 쥐게 됐고, 편의점이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신흥 강자로 부상, 대형마트가 소비패턴 변화, 유발법 등 규제로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평가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2월 소비재 소매 총액이 8,373억 위안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0% 증가, 헬렌 차오 BOA 경제학자는 "걱정할 만큼 약하지는 않지만, 추가 정책적 자극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Consumers spent at a slower-than-expected pace in February, though underlying readings indicated that sales still grew at a solid pace despite worries over an economic slowdown and rising inflation. Online spending helped boost the sales number for the month, with nonstore retailers reporting a 2.4% increase. Health and personal care showed a 1.7% gain while food and beverage outlets saw a 0.4% rise.
3/10/2025
홈플러스, 제2 티메프 사태 우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금융채권 상환을 유예받은 가운데 개인이나 법인에 소매판매된 금융채권이 최대 6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 소매판매 금융채권 투자자의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오뚜기와 롯데웰푸드, 삼양식품 등은 홈플러스에 일시 중단했던 납품을 재개했지만 롯데칠성, 팔도, 동서 등은 여전히 납품하지 않고 있는데 마땅한 담보가 없어, 미정산 시 받아낼 방법이 없는 탓이다. Homeplus is facing supply instability at some of its stores, leaving shelves empty or poorly stocked during its special sale period. Korea's state pension fund said that it has recovered about half of its total investment of $423.5 million at major retailer Homeplus, which recently entered a court-led rehabilitation process amid liquidity worries. The decision came after some local credit rating firms downgraded the company's rating.
3/3/2025
소매판매액 3개월째 ‘내리막’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고물가, 고금리 지속에 소매판매액의 3개월 연속 감소, 경기 불안 요인에 대한 대응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소비 촉진 정책을 추진해 내수경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2025년 1월 소매업 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3.9% 증가한 약 133조원을 기록, 일본 경제산업성은 휘발유 가격 상승에 드럭스토어 등에서 판매 증가가 소매매출 확대에 기여했다고 지적했다. South Korea’s e-commerce market is entering a new phase of competition as major players escalate their efforts to enhance delivery services, aiming to challenge Coupang’s dominance in logistics. With the competition heating up, South Korean consumers stand to benefit from increasingly faster and more flexible delivery options, while e-commerce firms race to gain an edge in the high-stakes logistics war.
2/25/2025
'편의점 아침밥' 불티
지난해 GS25에서 아침 시간대 도시락·샌드위치·주먹밥 등 식사 대용 간편식의 매출은 전년 대비 50.2% 증가, 최근 몇 년 사이 고물가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싼값에 아침식사를 하려는 수요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무디스 애널리틱스 분석에 따르면 미국에서 연소득 25만달러 이상 가구에 해당하는 상위 10%의 소득자들이 현재 전체 소비의 49.7%를 차지, 이들의 소비가 흔들릴 경우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Temu is expanding its presence in South Korea, a move widely seen as in response to Trump’s decision to end the small-parcel tax exemption for goods under $800 and impose an additional 10% tariff on Chinese imports. After Temu launched a Korean-language online shopping platform in July 2023, it established its Korean subsidiary, WhaleCo Korea, in February last year, though the office has remained mostly inactive.
2/17/2025
애물단지 취급 받던 SSM의 부활
고물가와 내수 침체 속에 대형마트에서 한번에 장을 보기보다는 집 근처 슈퍼에서 그때그때 한 끼 식사에 필요한 만큼만 식재료를 구매하는 사람이 늘며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던 기업형슈퍼마켓(SSM)이 부활하고 있다. 더현대 서울은 최근 프랑스 명품 그룹 LVMH가 보유한 스페인 브랜드 로에베 입점을 확정 짓고, 매장 오픈을 준비 중으로 지난해 하반기 프라다와 루이비통 매장을 오픈한 데 이어, 올해 하반기 셀린느 매장 입점도 앞두고 있다. Korea's convenience store chains have begun adding fashion items to their shelves to make the most of their vast network of 55,500 outlets across the nation. Nonfood items have often remained out of the limelight, as food products are often the main stars of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umer events. However, convenience store companies are now capitalizing on the usually overlooked nonfood products, seeing an opportunity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ir rivals.
2/10/2025
죽은 상가도 살리는 스타벅스·올영·다이소
최근 스타벅스 외에도 올리브영, 다이소, 무신사 등 이른바 '올다무' 3인방이 상권을 활성화하는 새로운 '앵커 테넌트'로 주목받으며, '올다무'의 입점 여부는 상권 내 유동인구와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KDI는 2월 경제동향을 통해 "정국 불안의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경기 하방 위험이 높아지는 모습"이라고 밝히고 1월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에 이어 기준치를 크게 하회하는 91.2에 그쳤다. 7-Eleven convenience stores have become a can't-miss destination for many international tourists in Japan for picking up items ranging from one-of-a-kind snacks to unlikely top sellers. An analysis of what foreign tourists come to 7-Eleven for here has "revealed hidden clues" to finding business opportunities, said an operations manager at Seven & i Holdings unit Seven-Eleven Japan.
2/4/2025
매출 4조 '다이소'에 면세점도 '덜덜'
다이소가 불황을 맞아 매해 최대 매출을 갈아치우는 가운데 이제 생활용품을 넘어 뷰티·의류·식품 등 카테고리로 제품군을 확장 중으로 올리브영은 물론 편의점, 면세점까지 잠재적인 잠식 영향권으로 거론될 정도다. 내수 경제가 계속 침체의 터널에 갇히자 국내 백화점, 마트, 편의점을 비롯한 주요 유통 업체들이 해외에서 적극 활로를 찾아나서며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처럼 아직 수퍼나 마트 같은 편의 시설이 부족한 국가를 공략하는 전략을 주로 쓰는 모습이다. Lotte and Shinsegae are expanding into India and Southeast Asia to reduce their reliance on the Korean market, as the country faces weakening domestic consumption. In December 2024, E-Mart opened its No Brand discount chain store for the first time in Laos and shared plans to open some 20 stores there over the next five years. For major retailers like Shinsegae, the country is seen as a land of opportunity due to the region’s weak retail infrastructure.
1/31/2025
테무, 한국시장 본격 공략
유통업계에 따르면 테무는 한국에서 키워드 광고를 도입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으로, 경쟁 상대인 알리바바그룹이 신세계와 손잡고 대량으로 한국 셀러 확보에 나서면서 테무도 셀러 모집 가능성이 높아졌다. 매출 '3조 클럽'에 가입하며 치열한 외형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롯데백화점 잠실점이 올해 '먹거리'로 맞붙고 강북 상권을 두고 명동 일대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신세계 본점과 롯데 본점은 '타운화' 전쟁을 시작했다. Japanese retail sales surged 3.7% year-on-year in December, more than expectations of 3.4% and much higher than the 2.8% rise seen in the prior month. Retail spending has steadily trended higher over the past year, amid increasing wage growth in the country. The retail sales data comes just after inflation data for Tokyo showed a steady increase in inflation from strong spending.
1/20/2025
대한상의, 1분기에도 소매유통시장 전망 어둡다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에프알엘코리아는 매출 1조원을 돌파했으며 신성통상이 운영하는 탑텐은 지난해 사상 최고 매출인 9700억원을 기록, 불황 속에서 SPA 브랜드가 성장세다. 상공회의소는 500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올해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 지수를 조사한 결과 전망치가 77로 집계, 업태별로는 모든 업체에 걸쳐 경기 전망 지수가 전 분기보다 하락했다. The 2025 Korea Grand Sale officially kicked off, marking the largest event in the festival’s history with participation from over 1,680 companies. Major retailers, including department stores, duty-free shops, supermarkets and outlets, are holding shopping events. Welcome centers for the event have been set up in popular shopping districts, including Myeong-dong, Hongdae, Seongsu and Gangnam in Seoul.
1/14/2025
소매유통업 1Q 경기 전망 '꽁꽁'
상공회의소는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전망치가 전분기 대비 3포인트 하락한 77로 집계되며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정치 혼란이 유통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매출 40조원을 돌파하며 한국 유통 산업의 신기원을 이룩한 쿠팡이 새해에도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며, 올해와 내년에 걸쳐 2조4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해 2027년 '로켓배송 5000만명'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이다. Retail sales in Korea fell to the lowest level in 24 years in the first 11 months of 2024, data showed, reflecting weak consumer spending in the middle of a slowdown in economic growth. It marks the steepest decline since 2003, when the index fell by 3.1% as the credit card crisis led to 4 million Koreans filing for bankruptcy. The downturn was seen across durable and nondurable goods, with sales of semidurable goods like clothing, footwear and bags suffering the steepest slide of 3.7%.
1/7/2025
“나가야 산다” 해외로 눈돌리는 유통업체들
고물가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탄핵 정국까지 겹쳐 극심한 소비 침체기에 직면한 만큼 성장 잠재력이 큰 해외에서 돌파구를 찾겠다는 전략으로 신세계, 롯데 등 국내 유통사들이 새해를 맞아 해외 시장 개척에 본격 나서고 있다. 올해 물류업계 주 7일 배송이 확산하고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한국 시장 침투가 본격화하며, 업계 1위 쿠팡의 시장 지배력에 변화가 나타날지 등 국내 이커머스 업계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With South Korea facing its worst domestic retail downturn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major retailers are accelerating their international expansion plans in search of new growth opportunities. This push for international expansion comes as retailers are looking to reduce their dependence on the struggling domestic market, which is affected by population decline and a sluggish economy.
1/2/2025
새해벽두부터 소비 살리기
정부가 새해부터 소비심리를 살리기 위한 대책을 추진, 자동차 구매 촉진을 위해 개별소비세를 30% 낮추고 전기차 보조금 지원도 늘리고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선 3만원 숙박쿠폰을 100만장 배포한다. 알리바바가 중국 최대 대형마트 체인인 RT마트를 보유하고 있는 ‘선아트 리테일’ 지분 78.7%를 사모펀드 운영사 더홍캐피탈에 매각, 돈 안 되는 오프라인 매장은 과감히 접고 본업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Luxury fashion brands in Korea are set to increase retail prices for their products in the new year, further pushing high-end goods out of reach for average consumers in the country. The retail sector has faced a volatile business environment in 2024 with several chains filing for bankruptcy and closing down operations, while others have obtained last-minute reprieves to remain open.
12/23/2024
컬리, 명품까지 판다
식료품 ‘새벽배송’ 시장을 개척한 컬리가 주력 소비자층인 30, 40대 여성의 관심사를 반영한 상품군 확장을 통해 매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전략으로 본업인 식품과 화장품에 이어 명품사업에 뛰어들었다. 리서치업체 코어사이트에 따르면 올해 1~11월 미국에서 문을 닫은 점포 수는 7100여곳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급증, 파티시티는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감소에 직격탄을 맞아 내년 2월 말까지 약 700곳의 점포가 문을 닫을 예정이다. Sales of major online and offline retailers in the country increased by 8%.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Korea Sale Festa', a Korean version of Black Friday, which somewhat thawed the frozen consumer sentiment over the month of November. The demand for home cooking has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of high inflation, and food sales, including for making kimchi, rose by 10.2%.
12/17/2024
탄핵 국면마다 경기전망·소비심리 ‘최악’
경기 불황으로 전반적인 소비 침체가 깊어지는 가운데 불필요한 물건 구매를 자제하고 꼭 필요한 것만 사는 ‘요노(You Only Need One)’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가성비 브랜드들은 오히려 ‘불황 대목’을 맞이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대통령 탄핵이 가결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됐으나 각종 금융정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실물 경기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소비심리가 둔화되고 있어 카드사들은 비상이 걸렸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South Korea’s retail sector, brought to a standstill by the Dec. 3 declaration of martial law, is showing tentative signs of recovery after the National Assembly’s Dec. 14 impeachment vote against President Yoon Suk-yeol. Retailers, eager to salvage the year-end shopping season, are reviving postponed promotions, but analysts caution that domestic consumption is unlikely to rebound quickly.
12/10/2024
탄핵 국면마다 경기전망·소비심리 ‘최악’
탄핵 정국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경기 불안 심리가 커져 소비자들이 지갑을 더 조이고 경제가 움츠러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향후경기전망CSI는 지난 11월 이후 최저 수준이며, 2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집객력을 갖춘 상위 점포는 높은 매출을 기록하는 반면 지방이나 상권이 약한 점포들의 매출 하락세는 더욱 짙어지고 ‘백화점 양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백화점들은 매출 하위 점포 철수를 통해 고정비를 줄이고 자산 재배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The Korean duty-free business is in extreme stagnation and suffering a serious downturn. It will take time to recover,” a senior Korean travel retail executive said. “In the meantime the big companies are showing deepenining deficits and have gloomy prospects over the next year. It is a time of struggle for all of them.” Retailers for beauty and fashion products say there has been no drastic decline in sales yet, but they are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12/3/2024
알리바바, 이커머스도 1000억 투자
중국 알리바바 그룹이 1000억원을 투자해 패션 쇼핑몰 업체 에이블리코퍼레이션 지분 약 5%를 취득, 업계에서는 알리바바가 국내 이커머스 사업 확장과 역직구 사업 활성화를 위해 에이블리에 투자한 것으로 분석한다. 트랜드리서치가 ‘패션브랜드 의류제품 소매가격 지수’를 조사한 자료를 발표, 팬데믹 이후로 소비심리는 회복되었지만 공급망 붕괴,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 통화 변동 등으로 한동안 소매가 인상 폭은 최소 6%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in South Korea is expected to face intensified polarization and undergo significant restructuring next year. Economic uncertainties fueled by President Donald Trump’s second term and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provincial areas are anticipated to drive major department stores to accelerate restructuring efforts.
11/29/2024
10월, 소매판매 두달째 줄어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0월 산업생산과 소비·투자 지표가 5개월 만에 동반 감소한 가운데, 재화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는 0.4% 감소하면서 전달(-0.5%)에 이어 두 달째 줄었다. '큰손'으로 불렸던 중국인 관광객 감소 외에도 명품 이커머스 플랫폼이 성장세를 보이며 ‘부진의 늪’에 빠진 면세점들이 단독 제품을 늘리고 체혐형 매장을 선보이는 등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While some consumers hunt for bargain cosmetics and sample-size products, others flock to luxury brands like Prada Beauty, which opened its first South Korean store in August despite economic headwinds. Korea's industrial output, retail sales and facility investment dropped from a month earlier in October, data showed. Retail sales, a gauge of private spending, also dropped 0.4% from a month earlier, marking the second consecutive monthly decline.
11/22/2024
코스트코, 홈플러스 따라잡나
코스트코는 19일 감사보고서를 통해 전년도 대비 각각 8%, 16% 증가한 매출 6조 5300억 원, 영업이익 2185억 원을 공시, 빠르면 다음 회계연도 안에 홈플러스 매출을 추월할 수도 있어 국내 대형마트 시장 재편 가능성도 예상된다. 최근 이커머스들의 뷰티 진출이 늘어나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올리브영, 아모레퍼시픽 등 기존 뷰티업계가 차별화 전략으로 옴니채널(온·오프라인) 전략 혹은 맞춤형 뷰티 등을 꺼내들고 디지털 역량 강화에 적극 나서 주목된다. Costco Korea, the South Korean branch of the American warehouse club retailer, Costco, is maintaining its rapid growth, signaling a potential shake-up in the domestic large-scale retail market rankings. Industry insiders say that Costco Korea might surpass Homeplus in sales as early as the next fiscal year. Despite the economic downturn, the demand for warehouse-type large-scale retailers has surged, leading to these impressive results.
11/16/2024
정부 경제진단 "내수 회복" 빼고
정부가 최근 경제에 대해 6개월 연속 써오던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이란 표현을 빼고 “완만한 경기 회복세” 및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라고 진단, 소매판매와 건설투자 부진이 이어지며 트럼프 당선에 따른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쿠팡, 롯데온, SSG닷컴 등 이커머스 업계가 럭셔리 제품을 강화해 온라인 명품 수요를 겨냥, 럭셔리 제품을 판매하며 소비자들에게 신뢰성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고 희귀한 브랜드 상품을 들여오는 등 상품을 차별화하는 기회를 찾고 있다. South Korea’s supermarket chain Emart has launched a new service offering one-hour delivery for over 3,000 items, including sushi and pork belly. Offline retail giants are adopting quick commerce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find in-store shopping inconvenient. In the U.S., a nationwide 30-minute prescription delivery service has been introduced, while in India, companies are competing to offer deliveries within 10 minutes.
11/11/2024
가을 장사 공치더니 겨울 패션에 사활 건 백화점
10월 중순까지 이어진 늦더위에 가을옷 판매가 부진했던 롯데와 현대백화점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 가을옷 장사를 일찌감치 접고 단가와 마진이 높은 겨울옷 판매를 늘리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 GS25, BGF리테일이 발표한 3분기 매출은 각각 2조3,068억 원, 2조3,256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 5.4% 증가, 2022년 무렵 대형마트를 누르고 백화점도 바짝 뒤쫓고 있는 편의점의 파죽지세가 이어지고 있다. Younger generations are leading the running craze as the sport costs less than others such as golf, while anyone can participate in running regardless of age, gender or fitness level, the retail industry sources added. As Baby Boomers retire, their focus on health and longevity is reshaping the skincare industry, according to Mintel's 2024 "NeuroGlow" report. Longer life expectancy has led to high demand for preventative skincare that tackles signs of ageing before they appear.
11/4/2024
무텐다드, 한국판 유니클로 되나
캐주얼웨어 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가 지난 1일 현대백화점 신촌점에 매장을 내며, 오프라인 매장이 총 17개로 온라인에서 출발했지만 오프라인 접점을 늘려 SPA 브랜드의 대표격인 유니클로를 위협할 만큼 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트레이더스의 올 들어 9월까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하며, 이마트의 네 개 사업군인 대형마트, 슈퍼마켓, 창고형 할인점, 전문점 중 유일하게 매출이 늘었다. Korea's retail sales continued to decrease for two and a half years, led by weak demand across durable and non-durable goods, government data showed. The quarterly retail sales figures decreased consistently since the second quarter of 2022, marking the longest downturn since Statistics Korea began tracking the data in 1995. In particular, the sales index for passenger cars fell 8.4% in the first quarter and 13.2% in the second quarter.
10/30/2024
무신사의 힘, 일본 삼켰다
무신사에 따르면 글로니, 블루엘리펀트, 에이에이에이 등 국내 신진 브랜드를 중심으로 지난 3분기 기준 일본 스토어 거래액이 작년 동기 대비 120% 이상 급증, 일본 젊은층 사이에서 'K패션 성지'로 입소문이 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KDI에 따르면 국내의 연간 소매판매액 가운데 온라인 쇼핑 상품 거래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14%가량에서, 올해 2분기 27% 수준으로 배 가까이 증가, 온라인 쇼핑 비율 증가는 물가상승률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Declining demand from China saw Korean duty-free sales excluding inflight retail decrease -3.97% month-on-month during September to $859.8 million according to released Korea Duty Free Association figures. Sources say several large shipments of Korean cosmetics through the daigou channel into China were cancelled due to the decline in demand.
10/25/2024
유통가 '올·다·무 모시기'
어떤 테넌트를 유치하는지가 위기에 처한 오프라인 점포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인이 되자 최근 유통사들이 임대료를 깎아주면서까지 앵커 테넌트인 ‘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 모시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분석 결과, 내수 침체가 장기간 이어지고 온라인 쇼핑과 무인점포 등 산업 구조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탓에 도·소매업 취업자 비중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onsidered a leading market for fashion and culture in Asia, South Korea has a growing domestic market that is characterised by a variety of young, creative designers as well as an appetite for heritage Western brands. The launch of Birkenstock’s the online shop marks the initial phase of this expansion, with plans to open brand-owned stores and partnerships in select department stores set for spring 2025.
10/19/2024
컬리, 퀵커머스 강화
컬리가 ‘컬리나우 도곡점’을 오픈하며, 지난 6월 서울 서대문구와 마포구, 은평구 등에 처음 선보인 퀵커머스 서비스를 강남에서도 본격적인 퀵커머스 사업 확장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형 이커머스 채널인 11번가·롯데온·SSG닷컴이 임대료 등의 비용을 절감해 수익성을 개선하는 한편 재도약을 위한 분위기로 쇄신하려는 차원으로 잇달아 본사 이전 카드를 꺼내들었다. Retail executives share consumer optimism, with 80% predicting increased sales during the holiday season driven by higher in-store and online traffic. In its 2024 holiday retail survey, Deloitte projects the average holiday spending this year to reach $1,778 from $1,652 last year. This includes expenses on gifts, non-gift purchases, home furnishings, and experiences amongst others.
10/14/2024
상반기 소매판매 증가율 둔화
한국경총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경상수지)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에 그치고 소매판매의 실질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소매판매액(불변지수) 증가율은 -2.4%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유통업계는 국내 뷰티 유통 시장에서 CJ올리브영 비중이 2022년 12.2%에서 올 상반기 17.6%로 커지는 가운데, 컬리와 무신사 등 이커머스 업체들이 대규모 뷰티 행사를 열자 시장 주도권을 쥔 올리브영은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According to a report on recent trends and implications in retail sales released by the KEF, the growth rate of the retail sales index (nominal value)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stood at only 0.3%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Lee Seung-yong, head of KEF’s Economic Analysis Team, emphasized the need for policies to boost domestic consumption, including regulatory easing and support measures.
10/7/2024
4분기에도 소매유통 체감경기 '찬바람'
상공회의소가 500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4분기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전망치가 80으로 집계, 누적된 물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돼 올해 4분기 소매시장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메종키츠네, 아페쎄, 아르켓에 이어 랄프로렌, 키스 등 명품 브랜드들이 최근 카페와 결합된 매장들을 다시 열고 과거와 달리 카테고리도 캐주얼, 슈즈, 시계, 홈웨어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The rise of e-commerce in South Korea has led to a steady decline in retail employment, with the number of sales workers decreasing for 60 consecutive months. This persistent decline in retail jobs stands in stark contrast to overall employment figures. The competition for the top spot is so fierce that the two rivals employ various tactics to become the undisputable leader in the Korean market, with CU striving to get ahead of GS25 in sales while GS is making efforts to boost profitability.
10/1/2024
다이소, 화장품 빅2 입점
다이소가 화장품 시장의 소비 양극화로 저가형 제품의 인기에 화장품 빅2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제품을 입점시키고 대형 유통사 매장에 입점한 매장 수를 지속적으로 늘렸는데 지난해 말 기준 290개로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2024년 8월 소매업 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2.8% 증가한 약 126조69300 억원을 기록, 시장 예상 중앙치는 2.3% 증가인데 실제로는 이를 0.5% 포인트 상회했고 상승폭은 7월 2.6%에서 확대됐다. Retail sales in Korea rose 9.2% on-year in August as more people visited offline stores amid the extreme heat wave, with demand for food delivery and health-related products also rising from online malls. Offline store sales surged 5% on-year in August, as the number of days with peak temperatures reaching 33 degrees Celsius increased to 21, up 10 from the previous year, encouraging more shoppers to visit department stores and supermarkets to avoid the heat.
9/24/2024
이커머스, 오프라인 판매 잰걸음
고물가 장기화에 이어 티메프 사태 여진 지속, 중국 이커머스 공습 격화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컬리, 쿠팡, 무신사 등 이커머스 업계가 기존 온라인 시장의 약점을 오프라인 사업 및 마케팅 확장으로 보완해 활로 찾기에 나서고 있다. 엘리엇 힐 나이키 신임 최고경영자가 제품 개발과 소매업체들과의 관계보다 직접 판매를 우선시하려는 존 도나호 전임 CEO의 도매 직접 판매 모델로 인해 약화된 소매업체들 간 관계를 회복시킬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Consumers are shifting their holiday shopping preferences this year, with many prioritising sentimental and experiential gifts over traditional material items, according to the latest Amex Trendex report from American Express. The most popular experiential gifts include entertainment (59%), travel (54%), and food and drink experiences (49%). Amongst friends, 69% prefer to exchange fun experiences or trips instead of conventional gifts.
9/18/2024
고액 사치품 소비 5년새 두배
기획재정부로부터 '최근 5년간 고액 사치품 개별소비세 부과 현황'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고액 사치품 과세액은 5년 전인 2019년 1천362억원의 2.35배에 달하는 3천197억원으로 집계, 고급 시계 과세액은 1천398억원에 달했다. 미국의 8월 소매 판매가 1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전월에 이어 0.1% 증가, 월스트리트저널의 자체 조사에서 경제학자들은 지난달 자동차 판매가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고 0.2% 감소를 예상했지만 증가폭은 예상보다는 약간 더 좋았다. U.S. retail sales unexpectedly rose in August as a decline in receipts at auto dealerships was more than offset by strength in online purchases, suggesting that the economy remained on solid footing through much of the third quarter. According to data from the Carisyou Data Research Institute, registrations of corporate vehicles priced over $59,600 fell by 27.7% between January and July this year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9/13/2024
수 입물가 3개월 만에 하락, 교역조건 14개월 연속 개선
한국은행의 '2024년 8월 수출입물가 및 무역 지수'에 따르면 수입물가는 미국의 글로벌 경기 침체 공포로 국제유가, 원·달러 환율 하락 영향으로 전월대비 3.5% 내리며 석 달 만에 하락했고 교역조건은 14개월 연속 개선 흐름을 지속했다. 일본은행에 따르면 8월 PPI가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한 123.0으로 7월보다 상승률이 0.5%포인트 둔화했고 엔화 기준 수입물가 지수는 2.6% 상승해 전달인 7월 상승률 10.8%에서 크게 둔화했다. The import price index declined 3.5% last month from a month earlier following a 0.4% on-month gain the previous month and a 0.6% fall in June,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data from the BOK. Japan's annual wholesale inflation slowed in August as the yen's rebound weighed on import costs, data showed, taking some pressure off the central bank to address upward price risks with near-term interest rate hikes.
9/9/2024
외국인 관광객 K쇼핑 '올·무·다'
외국인 관광객들의 관광 패턴이 대규모 단체 관광에서 소규모 개별 관광으로 변하면서 외국인이 몰리는 명동, 강남, 홍대, 성수 등에 이른바 '올·무·다'로 불리는 올리브영, 무신사, 다이소가 외국인들의 '쇼핑성지'로 굳어지고 있다. 'KDI 경제 동향 9월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 상품 소비를 반영하는 소매판매(-3.6%→-2.1%)는 신제품 출시로 급증한 통신기기⋅컴퓨터를 제외하면 오프라인 거래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품목에서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다. Japanese fashion label Uniqlo will launch its largest store in South Korea on September 13 after reporting strong sales at home and in some overseas markets. The brand entered South Korea in 2005 and now has 126 stores in strategic areas. South Korea's retail industry saw a 6.3% YoY growth in July 2024, driven by a 16.9% surge in online sales, according to MOTIE. Offline sales, however, declined by 3.0% due to fewer holidays and more frequent rains.
9/3/2024
뷰티 눈돌린 패션플랫폼
본업에 비해 연중 꾸준한 매출이 나오는 이점에 무신사, 지그재그, 에이블리 등 패션 전문 플랫폼들이 화장품 카테고리를 강화, 올해 들어 7월까지 무신사에서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0% 올랐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자료를 보면, 고금리·고물가에 가계 여윳돈이 줄어들며 내수 부진에 음식점을 포함한 소매판매지수가 역대 가장 긴 16개월째 감소했고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5개월째 100을 밑돌고 있다. N°21 is changing its partnership strategy in South Korea. The Italian ready-to-wear brand, established by Alessandro Dell’Acqua in 2010, is aligning with a new distributor in South Korea, marking it as its second key market following Japan. South Korean stores have certainly put their own spin on the “convenience store” concept, while still drawing on the groundwork laid by Japanese combini. Each model has its own success story, with Korean stores proving particularly adaptable.
8/27/2024
탈중국 공급망 다변화 현실로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델, 애플 등 글로벌 노트북 제조사들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지정학적 문제 등으로 탈중국화 전략이 지속되면서 베트남, 태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제조 비중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진출한 알리익스프레스가 다음달 오픈을 목표로 한국 전용 상품관 K베뉴 내에 뷰티 전문관 개설 작업을 진행 중으로 한국 업체들의 입점을 유치해 자사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As consumers continue to navigate economic challenges, their shopping behaviors are evolving in ways that affect retail customer loyalty. Here, we look at four significant trends impacting retail customer loyalty :Consumers are buying less, Customer loyalty is decreasing, As consumer loyalty wanes, strategic partnerships grow, and Further merging of the physical and digital.
8/20/2024
국내로 파 고드는 해외명품
SSG닷컴은 최근 미국 럭셔리 브랜드 코치의 F/W 시즌 컬렉션 신제품 중 4종을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상에서 먼저 단독 상품으로 출시, 명품 업체는 온라인 판매 반응을 본 뒤 오프라인 출고 물량을 조절할 수 있어 유리하다. 명품과 디자이너 브랜드가 기능성이 검증된 아웃도어, 스포츠 브랜드와 협업을 확대, LF는 한정판 스니커즈 ‘리복X송지오 프리미어 플로트직 쉐도우’를 지난달 31일 국내에서 출시했다. Platforms like Coupang’s Rocket Delivery and Market Kurly’s dawn delivery have reshaped consumer habits, making it common to shop without ever having to carry a basket. Younger consumer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t the forefront of the “finger commerce” trend, where people increasingly rely on delivery apps for everyday purchases, even from nearby stores.
8/14/2024
패션본고장 佛·伊, 신상품 들고 한국 찾는다
젊은 세대에게서 신명품으로 떠오른 프랑스 브랜드 '아미'는 올해 가을겨울 시즌 국내에서 단독으로 라운드넥 카디건을 선보이고 영국 브랜드 '바버'도 국내에서 다양한 독점 제품을 선보이며 종합 브랜드로 변신 중이다. 무신사는 ‘무신사 뷰티 페스타’를 열어 360여 개 브랜드의 1만여 종 상품을 할인 판매하고 다음달 초 서울 성수동에서 뷰티 팝업스토어도 선보이는 등 뷰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Shinsegae Department Store said that it will open Korea's first Prada Beauty store at its Gangnam branch in southern Seoul on Aug. 20. Before the official launch, a pop-up store will operate from Aug. 9 to 25. Visitors can explore makeup, skincare and fragrance lines, receive touch-up services, and participate in membership benefits and lucky draw events.
8/6/2024
간판서 ‘백화점’ 뗀다
올해 상반기 유통업체 매출 비중은 온라인이 53.5%로, 최근 백화점은 소비 심리 위축에 단순히 물건을 사고 판매하는 ‘쇼핑 공간’에서 벗어나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한데 모은 공간으로 새롭게 변신 중이다. 백화점업계 한 관계자는 “백화점 왕국이라고 불리는 일본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백화점 업종의 매출 하락세가 이어지며, 일단 고객을 백화점으로 끌어들이기만 해도 반은 성공이다. 체류시간을 늘려 구매로도 이어지는 선순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Amazon says it's using AI to analyze "data from cameras and sensors throughout the store simultaneously, instead of looking at which items shoppers pick up and put back in a linear sequence. For retailers, the new AI system makes Just Walk Out faster, easier to deploy, and more efficient. Japanese retail sales rose 3.7% in June from a year earlier, government data showed, beating a median market forecast for a 3.2% gain.
7/31/2024
6월 소매판매 석 달 만에 증가
통계청의 '2024년 6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산업생산 감소세 속에 승용차 등 내구재와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에서 판매가 늘어나며, 소매판매액지수는 전 달보다 1% 증가했고 이는 지난 3월 이후 석 달 만이다. 지난해 연결 기준 4887억원의 매출과 100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GS리테일의 분할신설예정법인인 파르나스홀딩스(가칭)가 상장요건을 충족해 재상장에 적격한 것으로 확정돼 내년 1월 16일 상장 예정이다. TMON and WeMakePrice - the e-commerce platforms owned by Singapore-based Qoo10 - have filed for court receivership amid continued financial crunches after weeks of payment delays to vendors using the platforms. $405 million will be provided to merchants and small vendors suffering from TMON and WeMakePrice’s payout delays,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nounced on July 29.
7/23/2024
국내소비 부진에도 해외소비는 활황
KDI는 최근 발간한 '경제동향' 7월호에서 "소비는 승용차와 의복, 음식료품을 중심으로 감소 폭이 커지며 대다수 부문에서 3개월째 부진이 지속되는 모습이나 해외소비는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흥미로운 콘텐츠로 꽉 채운 플래그십스토어는 그 자체만으로도 광고판"이라며 "매장을 들어서는 순간 브랜드를 잘 모르던 고객들도 신규 고객으로 유입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In May this year, South Korea experienced a significant shift in consumer spending patterns, with retail sales and service industry production continuing to decline while overseas travel expenses surged to their highest levels since 2019. South Korea has become the global king of convenience stores, both online and off - with social media influencers and tourists joining locals in flocking to a rapidly growing number of stores across the country.
7/16/2024
유통 권력 쥐려면 ‘먹거리’ 지배해야
지난 5월 온라인 식품 매출이 전년보다 26% 증가하고 최근 신선식품 카테고리 매출이 가장 크게 성장하자, 국내외 유통업체들이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식료품 시장을 공략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구구스, 무신사, W컨셉 등 패션 플랫폼들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브랜드를 경험하고 구매하려는 이른바 '경험소비'가 대두되면서 오프라인 매장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온·오프라인 시너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outh Korea’s online luxury goods market has experienced a sharp decline, with sales dropping by more than 30% in the first quarter of 2024 compared to the same period two years ago, according to recent data. A representative from NH Nonghyup Card explained, “Our data confirms that online luxury goods consumption has decreased due to the impact of the endemic phase of COVID-19, high inflation, and the ongoing economic downturn.”
7/9/2024
C커머스, 특화 플랫폼까지 참여로 새 국면
패션 플랫폼인 '쉬인'이 오는 14일까지 서울 성수동에서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스타일 인 쉬인'을 운영하며 본격적인 사업 행보를 밟으면서 기존 알리, 테무 등 C커머스의 국내시장 공략에 새로운 변수를 맞이했다. 최근 서울 명동에 외국인 관광객들이 몰려들면서 패션·뷰티 브랜드의 전용 상품, 시즌별 컬렉션, 이색 이벤트 등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플래그십 스토어'가 매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Ali and Temu may just be the beginning, stronger competition is coming from Chinese wholesale platforms like Ali 1688 and TikTok Shop.” said Jung Yeon-sung, a professor at Dankook University. “If Chinese platforms dominate in Korea, all related businesses, including logistics, advertising, and payment services, will shift to China.” Jung particularly noted the severe impact this industry shift could have.
7/3/2024
'알테쉬'에 아마존·쇼피·유튜브도 가세
아마존·쇼피·쉬인 등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이 셀러 상품 수출 지원 방침 발표, 국내 기업과 협업하는 등 한국에서 사업 확장에 나서고 유튜브도 ‘쇼핑 전용 스토어’를 열어 본격적인 국내 이커머스 시장 진출에 나섰다. 이마트의 이마트에브리데이 합병, 현대백화점의 현대쇼핑 합병, 동원F&B의 동원디어푸드 합병 등 오프라인 유통 기업들이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업계 환경이 급변하면서 계열사를 통합하는 등 새 판 짜기에 돌입했다. French luxury jewellery specialist Messika is making its first foray into the South Korean domestic market in collaboration with leading Asian brand operator Bluebell Group. The store design is inspired by Messika’s “minimalist elegance”, featuring a black and gold colour palette to reflect the brand’s aesthetics.
6/25/2024
방한 외국인, 미국인 ‘음식’ 일본인 ‘의료’ 중국인 ‘쇼핑’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비자 카드 결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미국·일본·중국 국적의 소비액이 결제 총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미국인은 식품에, 일본과 중국 국적 방한객은 각각 의료서비스와 쇼핑에 결제하는 비중이 높았다. 구매 후 적립금이나 캐시백 방식의 리워드 제도를 도입해 거래 마진의 최대 90%를 현금으로 구매 고객에게 돌려주는 오픈형 종합쇼핑몰 ‘우리샵’이 지난해 200억 원대의 매출을 올려 관련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Inflation numbers of late have been somewhat encouraging, but spending is showing signs of weakening as consumers have been under pressure from rising prices for more than two years. Retail sales in Korea rose by 8.8 percent on-year in May, driven by promotional events launched by online shopping platforms, data showed.
6/19/2024
명품 신상도 백화점보단 카톡?
카카오가 지난해 6월 국내 e커머스 플랫폼 중 최초로 명품 브랜드 전용관을 선보인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입점한 구찌 등 80여개 명품 브랜드 거래액이 1년 새 10% 넘게 증가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홈플러스 모두 인수합병 논의에 대해 부인하고 있지만, 알리가 오프라인 시장까지 진출하는 발판이 마련되면 국내 유통시장에 지각변동이 불가피해 유통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AliExpress is rumored to be considering buying Homeplus and its nationwide logistics network, making its Korean rivals nervous about the growing presence of Chinese retailers on their home turf. Some industry officials view AliExpress’ penetration into the offline market as highly plausible and potentially threatening, given their swift success in attracting online shoppers he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