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viation & Aerospace News
Top stories summarized by our editor
3/26/2023
세계각국 우주발사장 건설 붐
최근 '뉴 스페이스'에 발맞춰 위성과 발사체 수요를 확보하려는 각국이 민간 발사장 구축에 열을 올리며 한국을 포함 영국, 포르투갈, 스웨덴, 태국 등이 발사장을 새로 구축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다. ‘이노스페이스’가 독자 개발한 시험발사체 ‘한빛-TLV’ 발사를 성공시키며, 내년 우주 궤도 안착을 목표로 하는 실제 발사체 개발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 Relativity Space sent what it’s calling the “world’s first 3D-printed rocket” toward space, vaulting it into the upper reaches of the atmosphere. There are dozens of rocket startups, but Relativity has been a standout for its ability to raise capital and attract high-profile contracts before making its first launch attempt.
3/19/2023
우주항공청, 독립·범부처 조직 필요
우주항공청 설립을 위한 특별법이 입법예고된 가운데 국회가 과기부 산하 우주항공청으로는 독립성과 위상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독립‧범부처 우주 전담기구 설치 방안을 모색한다. 우주관광기업 액시엄 스페이스가 2025년 인류를 다시 달로 보내는 ‘아르테미스 3호’에서 사용될차세대 우주복 ‘AxEMU’를 공개했다. Saturn’s sixth-largest moon Enceladus has a secret. About 12 miles underneath the icy crust of this “veiny eyeball” moon is a warm, dark saltwater ocean thought to have the same kinds of hydrothermal vents found in Earth’s oceans-and where microbes thrive. New research using data on Enceladus’ orbit, ocean and geology collected by NASA’s Cassini spacecraft sheds light on the process.
3/11/2023
한국 첫 민간 우주발사, 또다시 연기
국내 최초의 민간 우주발사체 발사에 나선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의 우주발사체 '한빛-TLV' 발사가 지난해 12월에 이어 브라질 알칸타라우주센터에서 카운트다운 중 돌연 중단됐다. 미국 스타트업 랠러티비티 스페이스가 만든 세계 첫 3D 프린팅 로켓 높이 33.5m, 지름 2.2m 크기의 ‘테란 1’이 현지시간 11일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발사된다. If all goes as planned, SpaceX’s 400-foot-tall Starship rocket will be the first fully reusable launch vehicle to reach orbit. The rocket is powered by SpaceX’s Raptor engines, which run on liquid methane and liquid oxygen - a more efficient, lower cost propellant source. SpaceX wants to move fast and hopes to begin flying operational Starship missions later this year.
3/5/2023
세계 최초 3D 프린팅 우주 로켓, 첫 발사
3D 프린터와 자동화 로봇을 이용해 부품 수를 기존 로켓의 1/100로 줄이고, 제작 기간도 60일 이내로 단축하며 발사비용을 낮춘 우주 로켓이 세계 최초로 오는 8일 발사될 예정이다. 지난달 발사가 중단된 일본의 새 주력 로켓 'H3'에 대해 JAXA는 기상여건을 이유로 발사일을 하루 연기하고 3월7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Choi Won-ho, director general of the KSAA’s preparatory office, explained that the unique legal measures for the new space body are to help recruit talented space professionals. Unlike the current employment regulations that require open recruitment by notice, the KSAA will be able to scout talented professionals if deemed necessary.
2/19/2023
2025년 누리호 4차 발사,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개발
정부가 2025년 누리호 4차 발사시 자체 개발한 부품과 기술에 대한 실제 우주 환경에서의 시험 기회를 제공하는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정부는 최근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 제정안을 잠정 확정, 전문성 중심의 유연한 조직으로 구성·운영함으로써 미래 공무원 조직의 혁신 모델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뒀다. Japan's space agency is confident it can attempt another launch of its next-generation H3 rocket within weeks following a failure to lift off as scheduled last Friday. The H3 is the first update to Japan's launch vehicle in over 20 years and represents a radical redesign over its predecessor.
2/11/2023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10월 최종시험 추진
2025년까지 500kg급의 초소형 레이더 위성을 실어서 고도 500km 안팎의 저궤도에 올린다는 목표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의 최종 시험발사를 10월경 남부 해상에서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레이더·전자광학 위성과 지상체로 구성·운영되는 초소형위성체계 개발 사업이 작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로, 총 1조4223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Large defense companies are itching to buy space assets as part of the market is on the verge of a shake-out, executives discussing deal-making in the industry said. “We need more launch vehicles to continue to reduce the costs associated with getting a payload to orbit,” Arizona Sen. Mark Kelly said.
2/5/2023
우주탐사, 관측, 대형 발사체 분야 경쟁력 높인다
정부는 우주개발 투자액을 2021년 7300억원에서 2027년 1조5000억원으로 늘려 현재 선진국 대비 기술 격차가 10년 이상 벌어진 우주탐사, 관측, 대형 발사체 분야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매튜 바인지얼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우주, 마지막 개척자'라는 논문에서 “기존의 중앙집중적인 우주 산업의 탈중앙화 흐름을 일반적으로 ‘뉴스페이스’라고 부른다”고 밝혔다. Despite the possibilities that this new space age will bring in the coming years, few are aware of the extent to which the space economy is already reshaping how people live and work, and more important, how governments compete for power and influence. If not for the “Space Race,” essential systems such as communications, air transport, maritime trade, financial services, and defense, would be nowhere near as advanced as they are today.
1/29/2023
우주청은 7대 우주강국 꿈 위한 밑바탕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3차 발사가 오는 5월 초로 잠정 결정된 가운데, 7대 우주강국의 꿈을 이루기 위한 밑바탕으로서 우주청이 신설돼야 한다는 국회예산정책처의 정책 제언이 나왔다. NASA가 이달 27일 심우주 탐사 활용에 적합하고 초음속으로 비행할 수 있는 ‘회전 폭발 로켓 엔진(RDRE)’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The RDRE differs from a traditional rocket engine by generating thrust using a supersonic combustion phenomenon known as a detonation. A team of propulsion development engineers at NASA have developed and tested NASA’s first full-scale rotating detonation rocket engine, or RDRE, an advanced rocket engine design that could significantly change how future propulsion systems are built.
1/22/2023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
2040년 지구에서 약 150만km 떨어진 우주 공간을 향해 떠나 지구를 닮은 외계행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게 주 임무인 차세대 우주망원경 ‘거주가능한 세상 천문대’의 청사진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또한 NASA는 허블우주망원경보다 더 적은 시간으로 더 넓은 우주 영역을 관측할 수 있는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망원경’을 2027년 발사한다. The space industry is chock full of opportunities and milestones to look forward to over the next twelve months, as the market for 21st century space companies continues to evolve and mature. Here are the top three space business news items I’m watching for: Project Kuiper, Starship and A breakout stock. South Korea
1/15/2023
생명체 존재 가능 추정 외계행성 발견
NASA가 최근 제임스웹의 근적외선 분광기(NIRSpec)를 통해 찾아낸 외계행성을 공개,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파악한 ‘LHS 475 b’ 행성은 지구 지름의 99%에 해당한다. 이 행성은 적색 왜성을 돌고 있는데 적색 왜성은 태양 온도의 절반도 안 되기 때문에 이 행성은 대기권을 가질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The space observatory has been use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an exoplanet for the first time and the celestial body is almost exactly the same size as Earth. Representatives from the U.S. and Japan gathered to sign an agreement that builds on a long history of collaboration in space explo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1/8/2023
우주쓰레기 제거용 포집위성 개발 나선다
정부가 궤도 서비스ㆍ우주 군사용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우주쓰레기 제거용 '포집위성 1호'를 2027년까지 개발, 누리호 6차 발사를 이용해 임무가 종료된 우리별 1호 등을 제거한다. 위성을 정밀하게 제어해 궤도를 이동해 가면서 목표물을 포착해 랑데부하는 것은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선 시도해 본 적이 없는 미개척지다. Backed by MIT, astronauts on board the ISS completed a roughly 45-day experiment using a small microwave-sized box that injects resin into silicone skins to build parts, such as nuts and bolts. Now, after the parts travel back to Earth, scientists will evaluate the test pieces to examine whether they were made successfully - a process that could take weeks.
1/1/2023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두번째 비행시험 성공
올해 3월 첫 시험에 이어 9개월 만에 국방부는 소형위성 또는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달 탐사선 다누리가 최근 임무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면서 한국이 세계 7번째 우주 강국으로 도약했지만, 연구 주체인 항우원의 처우는 정부 출연연구기관 중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Jeff Bezos plans to open the Orbital Reef commercial space station by the end of the decade, with shuttles available to the tourist hotel via the hypersonic Dream Chaser. “The next generation of breakthrough products that we invent in space will change everything about what we do here on Earth.”, said Sierra Space CEO Tom Vice.
12/25/2022
'우주 경제 잡아라’ 불꽃 튀는 선점 경쟁
미국이 NASA와 별도로 운영하는 ISS연구소는 미세중력 환경이 갖춰진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생명과학, 생명공학, 에너지 및 바이오연료, 물리·재료과학 등의 분야를 연구한다. 최근 중국이 자체 우주정거장 톈궁을 완성하면서 저궤도에서 창출되는 산업, 이른바 우주경제를 선점하기 위한 미국·러시아 등 주요국과 기업의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Multiple uncrewed landings are planned for the next 12 months, spurred on by a renewed effort in the US to return humans to the lunar surface later this decade. We’re also likely to see significant strides made in private human spaceflight, including the first-ever commercial spacewalk, compelling missions heading out into other solar system destinations.
12/18/2022
제임스웹우주망원경, 2022년 최고의 과학 성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올해 최고의 과학 연구 성과’로 우주의 역사를 쓰는 새로운 눈,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을 꼽았고 RSV 백신, 200만년 된 DNA 복원 등을 과학계 이슈로 지목했다. NASA의 무인 우주선 '오리온'이 11일 달 궤도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 아르테미스Ⅰ 성과를 토대로 2024년에는 달 궤도 유인 비행(아르테미스Ⅱ)에 나선다. South Korea's first lunar orbiter Danuri started entering the orbit of the moon Saturday, 135 days after its launch,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said. The US military activated its first Space Force command on foreign soil in South Korea, with the unit’s new commander saying he is ready to face any threat in the region.
12/10/2022
국내 첫 하이브리드 우주로켓 시험 발사
이노스페이스가 개발한 고체연료와 액체 산화제를 함께 쓰는 하이브리드 우주발사체 ‘한빛-TLV’의 첫 준궤도 시험이 이달 14~21일 사이 브라질 알칸타라발사센터에서 진행된다. 방위사업청이 서울대에 발사체를 통해 여러 차례 우주에 재진입할 수 있는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센터를 열고 2028년까지 약 354억원을 투입한다. Korea has drafted its first defense space strategy charting the future course of the military's drive to develop operational capabilities for the crucial security domain, the defense ministry said. The strategy would serve as an overarching document outlining strategic goals,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the country's push to develop space...
12/4/2022
항우연과 민간기업 주도로 한국형 우주발사체 고도화
지난 6월 2차 시험발사에 성공한 누리호 관련 항공우주연구원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누리호를 내년부터 2027년까지 4차례 추가 발사하는 사업의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앞으로 '정답 없는' 우주 개발을 준비하고 기초연구와 개발을 준비하는 별도의 축이 있어야 일부 분야에서라도 우주 선진국을 넘어서 도약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President Yoon promised to double the government’s space development budget in the next five years and funnel at least $74.7 billion into the space sector by 2045. Yoon pledged to develop a next-generation rocket engine for the moon mission in five years and launch a national space agency modeled after NASA by next year.
11/27/2022
예산 17% 증액의 유럽 우주국, 뜨거운 '우주 경쟁'
유럽 우주국의 향후 3년간 예산이 23조5382억원으로 결정, 조지프 애시배처 국장은 "과학과 탐구는 다음 세대에게 영감을 줄 것이며 우주 기업가들이 번성하는 곳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약 700광년 밖 토성급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이산화황 등 분자의 존재와 광화학반응까지 처음으로 밝혀냈다. The new data provided the first sign in an exoplanet’s atmosphere of sulfur dioxide, a molecule produced from chemical reactions triggered by the planet’s host star and its high-energy light. “This is the first time we have seen concrete evidence of photochemistry - chemical reactions initiated by energetic stellar light - on exoplanets,” said Shang-Min Tsai, a researcher at the University of Oxford.
11/20/2022
아르테미스 vs 창어, 신우주패권 경쟁 가속
아르테미스Ⅰ 발사 성공은 냉전 시대인 1960년대 미국과 소련이 벌였던 치열한 우주 패권 경쟁이 민간 우주기업과 함께 중국과 새로운 경쟁의 장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인류의 반세기만의 달 복귀를 위한 첫걸음으로 달 궤도까지 무인 비행을 다녀오는 임무를 띠고 발사된 오리온 캡슐이 발사 9시간여 뒤 지구에서 약 9만1200㎞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첫 지구 사진을 전송했다. Howard Hu, who leads the Orion lunar spacecraft programme for the agency, said habitats would be needed to support scientific missions. Sitting atop the rocket is the Orion spacecraft which, for this first mission, is uncrewed but is equipped with a 'manikin' which will register the impacts of the flight on the human body.
11/13/2022
화성에 인간을 착륙시킬 열방패 테스트
열방패 기술의 '지구 저궤도 비행시험 팽창감속기'(LOFTID)가 밴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아틀라스Ⅴ 로켓에 실려 발사된 뒤 고열을 견디며 대기권에 재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NASA 측은 “해당 기술은 화성에 착륙하는 우주 비행사와 대형 로봇의 임무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더 무거운 탑재물을 다시 지구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고 밝혔다. When a polar satellite designed to improve weather forecasting launched early Thursday, an experimental heat shield tagged along. It could land humans on Mars. The mission is designed to test the inflatable heat shield technology needed to land crewed missions on Mars and larger robotic missions on Venus or Saturn’s moon Titan.
11/6/2022
우주정거장 '톈궁'서 원숭이 번식 실험
과학 연구 장비의 개발을 이끄는 중국과학원의 장루 연구원은 원숭이 번식 실험이 우주정거장 톈궁의 실험실 모듈 원톈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달무인궤도비행인 아르테미스I이 오는 14일 발사 예정으로 NASA 측은 “총 3단계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첫 번째 여성과 유색 우주인이 달에 착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hinese astronauts on the country’s new space station will perform a reproductive experiment using monkeys, according to a scientist involved in the project. As more nations plan for long-term settlements in orbit around the moon or Mars, “these experiments will be necessary”, Kehkooi Kee said.
10/30/2022
중국 독자 우주정거장 완공 단계
중국 우주 당국이 31일 톈궁 우주정거장 구축을 위한 3번째이자 마지막 모듈인 멍톈을 발사할 예정으로 중국의 '우주 굴기' 상징인 톈궁 우주정거장이 곧 완공된다. 파올로 데 수자 호주 그리피스대 교수는 "우주정거장 구축은 엄청난 성과"라며 "중국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과학의 놀이터를 열어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Former NASA chief scientist Ellen Stofan and current undersecretary for science and research at the Smithsonian explains why space exploration is so important for humanity. Rocket Lab, for its part, has expanded beyond its Electron rockets into making satellite buses, space-quality solar panels, and other spacecraft components.
10/23/2022
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 입법예고
과기부가 준궤도발사체 정의, 우주개발 기반시설 개방 확대, 지체상금 한도, 우주신기술 및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절차 등이 담긴 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예고 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이 지구에서 약 6500광년 떨어져 있는 독수리 성운에 자리 잡은 곳으로 아기 별들이 끝없이 탄생하고 있는 곳으로 유명한 창조의 기둥을 다시 촬영해 공개했다.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s Near-Infrared Camera captured this glittering view of the Pillars of Creation - and it begs to be examined pixel by pixel. With these new data, researchers will be able to update complex models of star formation with even more precise star counts and dust quantities.
10/15/2022
제임스웹, 우주의 지문 포착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지구에서 5000광년 이상 떨어진 공간을 포착한 우주의 지문은 울프-레이에 별에 속하는 한 별과 짝별이 춤을 추며 만든 최소 17개의 먼지고리를 보여준다. 유동완 한화 스페이스허브 부사장은 “미국, 일본 등 주요국들보다 10~20년 정도 뒤처져 있지만 인적자원과 전자, 통신, 방산 등 기반사업이 좋아 관심과 의욕만 있으면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A Japanese Epsilon small launch vehicle failed to reach orbit during an Oct. 11 launch, resulting in the loss of all eight smallsats on board. The failure was the Epsilon rocket’s first in six launches since its 2013 debut. However, the rocket appeared to malfunction after its second stage shut down, and JAXA later said it sent a self-destruct command to the rocket...
10/8/2022
러시아 발사 무산 ‘도요샛’ 자력 발사
러시아 발사가 무산된 국내 소형 위성 ‘도요샛’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로 발사, 성공한다면 실험 성격의 위성을 제외하고 우리가 자력으로 발사하는 최초의 실용 위성이 된다. 정부가 내년부터 누리호를 4차례 반복 발사해 성능을 고도화하고, 이 과정에서 기술 전 과정을 이전받을 기업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낙점했다. Constellations of satellites that reflect sunlight to Earth could be used for space advertising at a commercially viable cost of $65 million per mission, according to a feasibility study. But the idea is controversial among researchers, who warn of a pile-up of dangerous space debris and light pollution for ground and space-based telescopes.
10/1/2022
2000억원 못 내 `국제우주정거장` 참여 못해"
문홍규 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은 의식주뿐 아니라 보건, 의료, 자원 등 인류 생활이 달과 화성, 근지구 공간으로 이주하게 될 것이라며 한국은 그런 변화에 준비가 안 돼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새로 설립되는 우주항공청은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최근 일본의 JAXA처럼 독립 부처로, 우주정책을 총괄하는 국가 컨트롤타워로 만들어야 한다는 게 문 그룹장의 주장이다. South Korea’s is thriving, driven not only by the need to counter Pyongyang’s growing military threats but also by Seoul’s ambition to make the country one of the world’s top defense exporters. China wants new partners for Its moon missions as its relationship with Russia cools.
9/25/2022
우주항공청 추진단 출범 가시화
과기정통부는 우주항공청 설립 추진단 설치를 위해 태스크포스를 발족, 추진단을 선제적으로 신설한 뒤 우주항공청 설립 작업과 조직 구성을 본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통상 설립 추진단은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꾸려지지만, 법령 개전 이전 별도의 훈령 제정을 통해 선제적으로 우주항공청 설립 작업에 돌입하겠다는 의지다. Recent research suggested that some fast radio bursts, or FRBs, originate from magnetars, which are neutron stars with extremely powerful magnetic fields. Aintablian further cautioned that we need to know more about how the human body is affected by space in all ways—including when it comes to sexual activity.
9/18/2022
지질연, NASA 협력해 달 자원 개발
지질자원연구원이 NASA와 협력해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헬륨-3 등 자원을 달에서 확보하고, 달 현지 자원을 활용해 화성 진출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국제 우주개발 흐름에 동참한다. NASA의 다트 우주선이 소행성 디디모스의 위성인 디모르포스와 충돌할 예정으로 존스홉킨스대 로버트 브라운 박사는 "사상 처음으로 우주에서 천체의 궤도를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변경할 것"이라고 밝혔다. The spacecraft will slam into an asteroid's moon to see how it affects the motion of an asteroid in space. The mission is heading for Dimorphos, a small moon orbiting the near-Earth asteroid Didymos. Nanoracks just made spac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history with the first demonstration of cutting metal in orbit.
8/28/2022
우주강국 도약 발판 마련한 한국
1.5t급 실용 인공위성을 자체 발사해 지구 궤도에 올릴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에 이름을 올린 한국은 내년엔 KPS 개발, 누리호 반복 발사 등을 추진, 우주산업 기업 육성에 나선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는 지구저궤도에서 위성을 운영 중인 업체들에게 고장ㆍ수명 종료 후 5년 내 궤도 이탈 후 추락시키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의 초안을 만들어 발표했다. The FCC wants to adopt a five-year rule that would require domestic satellite operators and companies that want access to the US market to dispose of their non-functioning satellites as soon as they can. “We believe it is no longer sustainable to leave satellites in low Earth orbit to deorbit over decades,” the FCC states in its proposal.
8/28/2022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첫 외계행성 이미지 공개
나사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태양계 밖 행성을 직접 관측한 첫 번째 외계행성을 공개, 사샤 힝클리 영국 엑서터대 교수는 "JWST뿐만 아니라 천문학 전반에 있어 변혁적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외계행성 HIP 65426b의 나이는 1500만~2000만 년, 목성 질량의 6~12배 크기의 가스형 행성으로 지구에서 약 400광년 떨어진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has snapped a perfect shot of an "Einstein ring." The stunning halo is the result of light from a distant galaxy passing through warped space-time surrounding another galaxy aligned between the distant light source and Earth. The launch of Nasa's new Artemis I Moon rocket is facing a potentially lengthy delay after a second postponement.
8/28/2022
中, 2045년이면 美 누르고 우주서 최강
중국이 우주 기술 연구·개발에 지출을 늘리며, 2045년까지 미국을 누르고 우주 개발 분야에서 기술적·경제적으로 미국을 역전할 것이란 미국 국방부의 보고서가 나왔다. 달 뒷면 탐사선 착륙 성공, 자체 우주정거장 건설, 달 기지 건설 계획 등 중국이 이미 우주 개발 분야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고 봤다. NASA is developing its SPHEREx space telescope that can observe the entire sky. Joining the project is a group of South Korean researchers who have developed one of the key pieces of equipment for the telescope. As Defense One reports, a new analysis conducted by experts have concluded that, when it comes to playing the long game in space, Beijing may have the U.S. beat.
8/21/2022
우주에 기포 뗏목 띄우나
지구와 태양 사이의 ‘첫 번째 라그랑주 지점’에 용융 실리콘으로 만든 박막의 거품 한 장의 차양막을 브라질 크기의 거품 뗏목으로 만들어 배치하자고 최근 MIT 과학자들이 제안했다. 버진그룹 계열사이면서 우주발사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버진오빗이 한국의 제이스페이스홀딩스와 국내에서 위성발사 서비스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The word, Anthropocene, implies a materi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hat global society chooses to do and how planetary eco-environmental systems evolve. We cannot expect that threats to life on Earth would magically disappear, but we can hope they can be stabilized. One can imagine a network of networks that synthesizes...
8/14/2022
국내 우주산업 규모 세계 0.9%, 수출 모색해야
국내 민간 우주기업들은 기술과 경험 축적의 부족, 정부 우주 수요가 제한적임에 따라 수익 창출 한계에 직면해 국내 수요 확대와 함께 수출을 모색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항공우주연구원 황진영 책임연구원은 "국제우주외교 분야의 담당부처 역할 및 전문가가 부재하다"면서 "과기부는 외교를 모르고 외교부는 우주를 모르는 상황이다"라고 알렸다. SpaceX hopes to develop new markets in space mining, tourism, or other activities not yet dreamed of, but Lionnet is not so sure the heavy lifter will whet that appetite all by itself. When Starship makes its first orbital launch attempt, many researchers will be watching, waiting to see whether that giant silvery rocket is a vision of space science’s future, or a mirage.
8/6/2022
우주영토 개척 첫발 뗐다
미국 우주군기지 발사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향한 첫 달 탐사선 '다누리'는 올해 12월 16일 지구로부터 약 38만㎞ 떨어져 있는 달 궤도에 들어갈 예정이다. 미국과 러시아, 중국, 일본, 인도, EU에 이어 달에 도착하게 될 다누리는 극지방과 햇빛이 닿지 않는 그늘진 지역, 달 속 등 달의 곳곳을 촬영하며 유인 우주선의 달 착륙 후보지를 탐색한다. Here are the best space exploration movies, ranked: The Martian, Gravity, Apollo 13, The Right Stuff, Star Wars, Interstellar and A Space Odyssey. South Korea launched its first moon mission on Thursday as its homegrown lunar orbiter took off from Florida's Cape Canaveral Space Force Station aboard a SpaceX rocket.
7/24/2022
중국 우주정거장 첫 실험실 모듈 '원톈' 발사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을 추진하는 중국이 첫 실험실 모듈인 '원톈'을 발사, 원톈과 로켓이 성공적으로 분리돼 예정 궤도에 진입했다며 발사가 원만히 성공했다고 밝혔다. 핵심모듈 '톈허'와 두 개의 실험실 모듈로 구성된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은 오는 10월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이 발사되면 중국 우주정거장의 T자형 구조가 완성된다.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appears to have pictured a wormhole spinning in the "Phantom Galaxy," a place whose very center scientists believe may contain a black hole. China launched a laboratory module with the powerful rocket that was designed specifically to launch pieces of China’s Tiangong space station.
7/17/2022
스페이스X, 스타링크 국내 인터넷 서비스 위해 정부 접촉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위성 기반 인터넷·통신서비스 '스타링크'의 국내 진출을 위해 정부에 절차를 문의하는 등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과 러시아가 ISS를 오가는 유인 캡슐에 상대방의 우주비행사를 태워주는 좌석 공유 협정에 합의, 적어도 우주에서만큼은 협력 복원의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NASA and Russia’s space agency Roscosmos have signed a long-sought agreement to integrate flights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llowing Russian cosmonauts to fly on U.S.-made spacecraft in exchange for American astronauts being able to ride on Russia’s Soyuz, the agencies said.
7/10/2022
한국판 스페이스X, 우주발사체기업 선정작업 돌입
정부는 지난 7일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해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계획안', '우주산업 클러스터 추진계획안'을 심의·확정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우리의 미래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 분야인 우주에 달려 있다며 '우주경제' 시대를 열기 위한 과감한 투자와 항공우주청 설치를 통한 체계적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At this pivotal juncture, South Korea’s active membership in the community of spacefaring nations will give the country an elevated role in shaping the norms of conduct in space. Tangible successes of South Korean space programs may bring more support and attention to this important endeavor.
7/3/2022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에 달탐사까지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을 발판으로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을 추진, 예정대로라면 2030년 첫 발사 후 이듬해 한국형 달 착륙선이 출발한다. 우선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가 오는 8월 미국 플로리다 우주기지에서 발사돼 올해 말 1년 동안 달 표면을 촬영하고 달 착륙선이 자리 잡을 후보지를 물색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The US Space Force has activated a new unit that is tasked with providing "critical intelligence on threat systems, foreign intentions and activities in the space domain." The new unit, known as Space Delta 18, will be tasked with identifying threats to the United States' space assets, both kinetic and non-kinetic.
6/26/2022
누리호 발사 위성, 사상 첫 우리 망원경으로 촬영
천문연구원이 국내 자체적으로 구성한 망원경 네트워크인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으로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 위성모사체, 누리호 3단부 등을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한 줄로 늘어선 것처럼 보이는 ‘행성 정렬’ 현상을 27일까지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다. With the launch of its Korea Satellite Launch Vehicle II (KSLV-II aka. the “Nuri” rocket) on June 21st, the country became the latest nation to demonstrate its ability to build and launch its own rockets to space. It places South Korea in good standing among other Asian space powers - China, Japan, and India - and opens the door for future collaborations in space.
6/18/2022
누리호 2차 발사, 센서문제 등 해결 다시 우주로
항우연은 레벨센서 안에 있는 코어 전기부에 문제가 생긴 것을 확인하고, 당초 우려와 달리 1단과 2단을 분리하지 않고 새 부품으로 교체를 완료, '누리호' 2차 발사가 오는 21일 재개된다. 정부 부처마다 제각각 우주개발을 지원하고 전문성마저 결여돼 국제협력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반면, 일본은 총리가 우주개발을 지휘하고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 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The second launch of South Korea’s first domestically built rocket is set for June 21, a delay of a week due to strong winds and a technical glitch. KSLV-2 is South Korea’s first domestically developed space rocket, capable of putting up to 1,500 kilograms of payload to low Earth orbit.
6/12/2022
누리호 2차도전 준비 끝
지난해 10월, 성공까지 단 46초를 남기고 목표 속도 도달에 실패했던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1차 발사 때 미흡했던 부분을 보완, 8개월 만인 15일에 다시 힘껏 날아오른다. 로켓 개발과 초소형 위성 제작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는 지상 기지국 구축을 주력하는 스타트업들의 설립과 수 십 억원 대의 투자금이 몰리며 '뉴 스페이스'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second launch of a Nuri space rocket is going smoothly according to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which oversees launches. The first Nuri flew to a target altitude of 700km on the first attempt but failed to put a dummy satellite into orbit as its engine burned out 46 seconds earlier than expected.
6/5/2022
대한항공, 소형 발사체용 엔진 개발 착수
대한항공이 과기부 주관 ‘소형 발사체 개발역량 지원 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사업비용 약 200억원 규모로 2단 소형 발사체 상단부에 들어갈 3톤급 엔진 개발에 착수했다. 대한항공은 국내 유수의 항공우주기업 및 학계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엔진 시스템 설계, 조립 및 체계 관리, 시험 인증을 위한 총괄 주관 업무를 수행한다. China successfully launched another manned mission to its new space station, sending three astronauts who will continue construction work for six months, China's Manned Space Agency announced. This is the third crewed miss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pace station, which China plans to have fully crewed and operational by December 2022.
5/29/2022
누리호 2차 발사 6월 15일, 실제 위성 탑재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일이 6월 15일로 확정됐고 180㎏의 성능검증위성과 스텝, 스누그라이트, 미먼, 라이브 등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된다. 최상혁 나사 랭글리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새 정부가 조직의 관료주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적어도 우주과학기술 분야에는 기술관료가 많이 포진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Japan’s ambitions, and investment, are welcomed by the US as it tries to stay ahead of China in a potential new space race. Japan has an extensive space programme,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launchers and exploration probes, but it doesn’t have a human flight programme and has relied on the US and Russia to carry its astronauts into space.
5/22/2022
한미, 아르테미스·KPS 등 우주개발 협력
한미가 지난 21일 정상회담 이후 공동 성명을 통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지원 등 우주협력 전 분야에 걸쳐 한미동맹을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씨티그룹은 2040년까지 우주선 발사 비용의 하락하며 관련 기술의 혁신이 빨라지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 우주산업 규모가 1273조원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Space cooperation is one of the key agenda items at the summit between Korea and U.S. as the two leaders discuss plans on how to bolster collaboration in the Artemis program, a U.S.-led future moon landing project. Citi expects the space industry to reach $1 trillion in annual revenue by 2040, with launch costs dropping 95% to unlock more services from orbit.
5/14/2022
2031년 달착륙선 보낼 차세대 발사체 예타 진행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후속 사업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총 1조9330억원이 투입될 계획으로 본격적인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중이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면 지구궤도 위성뿐만 아니라 달, 화성 등에 대한 독자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돼 첫 임무로서 2031년에 달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SpinLaunch offered views of the projectile as it soared more than 25,000 feet above ground after being spun around in a vacuum-sealed centrifuge to more than 1,000 miles per hour. Japan, South Korea, Russia, India,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the United States aim to send missions to the Moon in the next year.
5/8/2022
이노스페이스, 브라질서 연말에 하이브리드 로켓 발사
액체 로켓과 고체 로켓의 장점을 합친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을 독자개발하고 있는 이노스페이스가 올 연말에 시험발사체 '한빛'을 브라질에서 쏘아 올릴 계획이다. 국내 스타트업이 브라질 항공과학기술부와 상호 기술 발전과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약속했고, 소형위성 발사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The DARPA is kicking off the next phase of a program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nuclear-powered propulsion systems operating between Earth and the moon in what’s known as cislunar space. According to DARPA, DRACO’s nuclear thermal propulsion system could enable rapid maneuver in space, which is difficult to perform with spacecraft powered by electric or chemical propulsion.
5/1/2022
일부 외계행성의 ‘극고온’ 이유 알아냈다
600시간 이상에 걸친 허블우주망원경의 관측과 그 데이터를 사용해 뜨거운 목성의 대기 중 일부에 수소, 산화티타늄, 산화바나듐 및 수산화철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된 이 분석은 미래에 다른 외계행성의 행동을 예측하고 행성 형성과 관련된 과정을 푸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평가했다. Russia is set to pull out of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nd will no longer work with NASA and the European Space Agency, according to the head of its space programme. Nathan Eismont, a leading researcher at the SRI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said that the operation of the ISS would become almost impossible if Russia withdrew from the project.
4/24/2022
우주예산 확대와 핵심기술의 민간 이전
뉴스페이스 시대 정부는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는 산파 역할을 하고 과감한 예산 지원 이후에는 민간 자율성에 모든 것을 맡김으로써 정부 역할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많아졌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예를 들어 국내 빅테크가 우주산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비우주 부문의 빗장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Plasma-based rocket designed for deep space exploration lasts longer and generates high power. Scientists have created a small modified version of a plasma-based propulsion system known as a Hall thruster that both enhances the lifespan of the rocket and produces high power. The new device helps overcome the problem for wall-less Hall thrusters that allows...
4/17/2022
러, “스타링크 위성 파괴” 명령
러시아가 흑해 함대 기함 모스크바호의 침몰이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에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가 활용됐다며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에 대한 파괴계획을 발표, ‘우주 전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 항공정찰부대는 스타링크를 이용해 무인 항공기를 감시 및 조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전차 무기 발사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That left what the team referred to as a "greedy neighbor," meaning a white dwarf pulling mass away from the red giant, as the only possible explanation for low-mass red giants. RUSSIA could launch a new "space war" against Elon Musk in retaliation for the sinking of the Moskva, according to an adviser to the Minister of Internal Affairs of Ukraine.
4/10/2022
정찰위성, 내년말 첫발사
군 당국은 정찰위성 확보 사업인 '4·25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되는 군 정찰위성 5기를 내년 말부터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탑재해 우주 궤도에 올릴 예정이다. 4·25사업은 체계개발부터 발사체 계약 체결까지 ADD에서 주관한 첫 위성 사업이라는 점에서 한국군의 우주전력 분야가 한 단계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Korea plans to launch its first homegrown spy satellite in 2023 atop a rocket from SpaceX under a project to place five such satellites into orbit by 2025, Seoul officials said. Once those satellites go into service, they are expected to bolster Korea's overall defense system, including its capabilities to monitor and track North Korea's military movements.
4/4/2022
독자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첫 시험발사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가 첫 시험발사에 성공, 향후 소형위성 또는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우주 전담기관은 대통령실 산하 독립기관으로 정부 부처 간 조정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위상을 격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South Korea has said it has successfully test-fired a solid-fuel space rocket for the first time, as it attempts to ramp up its defences after North Korea’s recent launch of a long-range missile. The defence ministry noted that space was becoming critical to the South’s national security and vowed to strengthen its space defence capabilities.
3/27/2022
독자기술로 지구 근접 소행성 탐사한다
천문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과 국방과학연구소가 협력해 독자기술의 발사체와 탐사선으로 2027년 지구와 근접해 지나가는 '아포피스'라는 소행성을 따라 비행하며 우주의 비밀을 풀어낼 예정이다. 천문연 관계자는 "근지구소행성은 대부분 소행성대에서 유입돼 태양계 초기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며 "태양계의 진화 역사를 재구성하는 화석과 같다"고 설명했다. There is a new kind of mystery object in space, and after capturing their best image yet, astronomers are one step closer to understanding these celestial oddballs. The odd radio circles could be remnants of a huge explosion at the center of a galaxy, not unlike what happens when two supermassive black holes merge together.
3/20/2022
총알보다 40배 빠른 우주기술 '랑데부'
천문연구원이 7년 후 지구에 초근접하는 초속 30㎞대, 총알의 40배에 달하는 속도의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선 개발을 위해 연구 중으로 랑데부 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 방위성이 지상 배치형 레이더나 2026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인공위성을 운용, 타국 인공위성 감시 등의 업무를 수행할 항공자위대 우주작전군을 약 70명 규모로 발족했다. For the first time in nearly 50 years, a moon rocket has made it to a launch pad at NASA's Kennedy Space Center. Following a successful Artemis I mission, a crew of astronauts will launch on Artemis II on a mission around the moon and back, followed by Artemis III - which includes landing on the lunar surface.
3/13/2022
목성 유로파 탐사선, 2024년 질주 시작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를 살펴보기 위한 탐사선인 클리퍼가 2024년 하반기 발사될 예정으로 목성을 공전하면서 유로파에 생명체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의 위성을 공격하기 위해 레이저포 등 각종 우주 무기 개발에 나서고 있어 실제로 '우주 전쟁'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The Air Force’s push to prepare for high-tech space war is focused on architecting the weapons needed to destroy incoming enemy ICBMs... This includes the prospect of some yet-to-exist systems such as space drones, lasers for missile defense or perhaps satellite fired weapons.
3/5/2022
8월 달탐사 도전, 우주선진국 향한 첫 걸음
오는 8월 한국형 무인 달 궤도선(KPLO) 발사에 한국이 성공하면 전 세계 7번째로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우주 개발 파트너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달 탐사선은 달까지 가는 4개월간 고해상도카메라로 금성, 목성 등 천체를 촬영하고 오는 2030년 이후로 계획된 한국형 무인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도 물색한다. Privateer that emerged from stealth promises better information about objects in orbit and more tailored space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for satellite operators. Privateer unveiled its first product, a visualization tool called Wayfinder that combines data from several sources, including data from U.S. Space Command and data provided directly by satellite operators.
2/27/2022
독자개발 누리호, 위성 싣고 6월 우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0월 ‘미완의 성공’에 그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약 190㎏의 소형 위성을 부착해 6월 15일에 2차 발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누리호 고도화 사업에 올해부터 2027년까지 6874억 원을 투입, 2차 발사 이후에도 누리호를 네 차례 더 발사해 신뢰성을 확보하고 누리호 개발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기로 했다. Korea said that it plans to make a second attempt to launch its homegrown space rocket in mid-June, after its first flight ended in failure due to technical glitches. Korea will push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pace rocket installed with a hybrid engine using solid and liquid fuels together that can increase the weight of space launch vehicles.
2/20/2022
우주기업에 부는 수직계열화 바람
우주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추세와 시장에 새롭게 진입하는 경쟁자도 증가하는 상황에서 ‘양날의 칼’인 수직계열화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우주기업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소형 발사체 제조사 로켓랩은 캐나다 ‘싱클레어 인터플레니터리’, ‘어드밴스드솔루션’, ‘플래네터리 시스템즈코퍼레이션’, ‘솔에어로 홀딩스’ 등을 인수하며 가장 적극적으로 수직계열화를 추진하고 있다. South Korea will invest 12 billion won in developing high-performance, liquid-fuel engines by next year as part of its space project, according to the ICT and science ministry. Korea earmarked some $418.1 million through a four-year state project to secure independent core technologies related to carbon materials.
2/13/2022
수만개의 인공위성, 우주 교통사고 키운다
나사가 스페이스X의 계획대로 인공위성이 추가 배치되면 "우주에서 비행체 간 충돌 사고가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며 나사의 우주비행 프로젝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스페이스X는 지난 3일 발사한 스타링크 위성 49개 중 40개가 지자기 폭풍으로 정해진 궤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추락했거나 추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The U.S. military is not alone in the recognition that the nature of warfare has changed. The Chinese are investing in their own rocket cargo delivery capabilities. A space arms race - particularly further testing of destructive anti-satellite weapons - puts the peaceful use of space at risk for the whole of humanity.
2/5/2022
한국 최초 달 탐사선 8월 발사
가로 1.82m, 세로 2.14m, 높이 2.29m 크기의 본체와 6개 탑재체로 구성된 국내 첫 달 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탐사선인 시험용 달궤도선이 8월에 쏘아올려진다. 중국이 지난달 발간한 우주백서에는 발사체의 성능과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로켓의 종류 다양화, 차세대 유인우주선과 고출력 고체연료·중대형 발사체 개발 등이 담겨있다. Quantum Space led by a former acting administrator of NASA has announced plans to develop platforms serviced by robotic vehicles in cislunar space to support a range of applications. Those payloads could include communications, navigation, remote sensing, space domain awareness and space weather sensors, Steve Jurczyk said.
1/29/2022
누리호·달탐사 원년, K-우주시대
올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1차 발사 실패 원인을 파악한 후 수정작업 중인 2차 발사가 5월에 있고 8월엔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어 달 탐사선을 발사한다. 업체 관계자는"현 실정을 객관적으로 파악해 우주와 관련해 특화된 ‘한국의 길(Korean Way)’을 찾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Last year marked a new dawn for space exploration and space travel. Lunar exploration will lead the charge in 2022 with several countries aiming to send spacecraft to the moon. China will carry out tests to validate new technologies such as smart self-management of spacecraft, propulsion, and in-orbit service and maintenance of spacecraft.
1/23/2022
우주기업 민간 투자 145억달러, 지난해 사상 최대
스페이스 캐피털은 전세계적으로 우주 인프라 기업에 투자된 금액이 전년대비 50% 증가한 약 17조2912억원으로 연간 기준 역대 최대 규모에 달했다고 밝혔다. NASA의 태양활동 관측위성이 지난 20일 태양의 가장자리에서 중형 또는 M5.5 등급으로 에너지 방출을 하는 태양 플레어가 폭발하는 장면을 포착했다. The Sun emitted a mid-level solar flare on January 20, 2022, peaking at 1:01 a.m. EST. NASA’s Solar Dynamics Observatory, which watches the Sun constantly, captured an image of the event. Flares and solar eruptions can impact radio communications, electric power grids, navigation signals, and pose risks to spacecraft and astronauts.
1/16/2022
한달만에 화성 보내줄 원자력 로켓 엔진 현실화는
NASA는 화성처럼 먼 장소까지 가기 위해 기존의 화학 로켓이나 이온 로켓을 뛰어넘는 강력한 로켓이 필요, 민간 업체와 협력해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차세대 핵열추진 로켓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DARPA도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열추진 로켓 엔진 개발을 위해 그리폰 테크놀로지스사와 1400만 달러에 계약을 맺었다. Spaceflight looks like it's on course to go nuclear, in a move that would greatly enhance humanity's capacity to launch to unexplored regions of our universe. The Vasmir rocket was designed to fly with an engine that uses nuclear reactors to heat plasma to two million degrees. Hot gas is then channeled, via magnetic fields, out of the back of the engine to propel it, in theory, at speeds of up to 197,950 km/h.
1/2/2022
2022 우주 역사 다시 쓰는 7가지 이슈
2022년 한국의 우주 역사를 새롭게 쓸 주요 이슈로 누리호 2차 발사, 한국형 달 궤도선 첫 발사, NASA의 다트 미션에 한인 과학자 참여, 위성항법시스템, 나노위성 군집 비행, 다목적실용위성 6·7호 발사와 민간 우주 로켓의 성장 등이 있다. 이노스페이스의 하이브리드 로켓 블랙버드-3와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의 메탄연료 블루웨일 로켓의 성장세가 주목된다. Debut rocket launches and robotic lunar missions will make the New Year a crucial prelude to putting astronauts back on the moon. The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a box-shaped satellite, will be Korea’s first foray to the moon as the country aims to bolster its technical know-how for conducting missions in space.
12/26/2021
'뉴스페이스' 대비 우주산업 본격 육성
정부는 내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 달궤도선 발사,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본격 착수 등과 함께 민간에 기술 이전과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 진입을 가속할 계획이다. 인류 최대 우주망원경인 제임스 웹이 성공적으로 발사돼 시험운영 후 6개월 뒤부터 지금까지 알아내지 못했던 빅뱅 이후 별과 은하 등의 비밀을 푸는데 쓰일 전망이다. The world's most powerful space telescope blasted off into orbit, headed to an outpost 1.5 million kilometres from Earth, after several delays caused by technical hitches. Webb will peer into the very atmospheres of exoplanets, some of which are potentially habitable, and it could uncover clues in the ongoing search for life outside of Earth.